•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스닥시장의 상장폐지실질심사에 관한 연구 (A legal study on Substantial Investigation of Delist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0.02
50P 미리보기
코스닥시장의 상장폐지실질심사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2권 / 2호 / 9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승열

    초록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은 상장폐지제도를 개선하여 시장의 건전성을 제고하고, 시장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하여 상장폐지실질심사제도를 2009년 2월에 도입하였다. 상장폐지실질심사제도는 거래소 임원과 변호사, 회계사, 학계 등 각계 인사로 구성된 상장폐지 실질심사위원회를 개최하고, 실질심사를 통하여 상장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장폐지실질심사제도는 기존의 형식적 상장폐지기준 뿐만 아니라, 기업경영의 계속성, 투명성, 기업의 재무내용, 경영현황 등 기업실질에 기초하여 상장적합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하여 부실ㆍ한계기업을 조기에 퇴출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제도도입 1년이 경과한 지금 개선할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선, 상장폐지요건을 살펴보면 형식적 요건과 실질적 요건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과연 이를 구분할 필요성이 있는가라는 문제가 제기된다. 형식적인 요건에 해당한다고 하여 무조건적으로 상장폐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의신청단계에서 재건계획 등을 심사하여 상장폐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결국은 회생가능성 등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상장유지할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
    둘째, 상장폐지실질심사 절차상에도 몇 가지 논의할 점이 있다. 심사소요기간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장폐지에 관한 이의신청이 제한함으로써 해당 법인의 방어권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코스닥시장에 대한 신뢰도 회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자자보호와 시장의 건전성 유지가 중요한데, 현행 상장폐지제도는 상장폐지대상 법인의 회생보다는 퇴출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투자자의 보호 및 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하여 신속한 상장폐지가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투자자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전제로 하여서는 현행규정 보다도 해당 법인에게 좀 더 스스로 자구노력을 기울여 회생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Korea Exchange(hereinafter the Exchange) have implemented a new delisting system called “Substantial Investigation System of Delisting” in February 2009. The system's purpose i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market and restore market confidence. The system organizes a Substantial Investigation Committee comprised with distinguished figures of a related spheres(eg, executives of the Exchange, lawyer, accountants and professor, etc). The Committee evaluates a listing suitability of a target listed company through the substantial investigation.
    The substantial investigation will synthetically measure a listing suitability of a target listed company through the continuity of corporate management, transparency, corporate financial information and business status, as well as existing formal delisting standards. Through this new delisting system, the Exchange can liquidate an insolvent enterprise in early stag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one year has elapsed now, the system will improve a few thing.
    First, delisting standards have divided into formal and substantial standards, but I think that there is no need to draw a line between both. Because in order that the Exchange finally delist a target listed company, all the matters(eg, corporate financial information and business status etc.)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Second, the procedure of delisting has a few points to discuss. The period of this review is not clear and the opportunity of appeal against delisting decision by the Exchange is only once.
    In conclusion, to restore confidence in the KOSDAQ market, more than anything to protect investors and maintain the health of the market is important. it appears that the current delisting system puts a high emphasis on the delisting of company than a reorganization. For the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the investors and the assurance of the market transparency, it is true that the delisting process should accelerated to the extent possible. However, it would be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a target listed company is given more sufficient opportunity to reorganize itself and maintain the status of the listing company on the condition that the proper actions for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the potential investors should be taken even though the current system also provides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