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동기시대~원삼국시대 수장 권력 변화와 다호리 군장의 특징 (Changes to the Power of a Head between the Bronze Age and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Gunjang of the Dahori Relic)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3.11
26P 미리보기
청동기시대~원삼국시대 수장 권력 변화와 다호리 군장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48호 / 45 ~ 70페이지
    · 저자명 : 이수홍

    초록

    청동기시대부터 원삼국시대까지 우두머리의 명칭과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다호리유적 군장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首長’이라는 용어는 불평등사회의 지배자라는 뜻으로 받아들여졌지만, 본고에서는 말 그대로 각 사회의 우두머리란 뜻으로 사용하였다. 시대별로 우두머리의 명칭이 청동기시대 전기는 村長, 후기는 族長,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는 君長으로 변화하는데 명칭의 변화만큼 성격도 차이가 있다.
    족장은 혈연적 평등사회의 지도자, 군장은 불평등사회의 지배자를 의미한다. 다호리유적의 군장은 『三國志』 魏書 東夷傳에 主帥 혹은 臣智라고 기록되어 있다.
    청동기시대 족장은 평등사회의 지도자인데 이때는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지 않아 족장이 巫의 역할을 같이 담당하였다.
    초기철기시대가 되면 巫는 祭司長으로 변화한다. 불평등사회의 지배자인 군장이 등장하며 점차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기 시작한다. 원삼국시대 다호리유적 단계가 되면 정치・종교 분리가 가속화된다. 원삼국시대 사라리유적 130호 단계가 지나면 군장에서 종교적 이미지가 거의 사라진다.
    다호리유적에서 동검과 동경이 부장된 9기의 무덤 피장자가 君長(主帥 혹은 臣智)이다. 主帥의 권한을 계승하였을 것이다. 군장은 마을을 총괄하고 그 아래 우두머리 층에서 어느 정도 업무가 분장되었다. 직능별로 채광, 철기제작, 농지개간, 조세와 교역, 식량생산, 전사, 외국과의 교류 등을 담당하며 분업화하였다.
    사회적 분업이 커질수록 경제적 차별성이 커진다고 한다면 다호리유적은 청동기시대나 초기철기시대에 보이는 단순한 협력체제가 아닌 원삼국시대의 본격적인 분업체제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to the titles and nature of a chief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unjang of the Dahori relic.
    The term head was accepted as a ruler in an unequal society, but the present study used it as a chief of each society literally. The titles of a chief changed according to different periods. It was a village head during the former half of the Bronze Age, patriarch or matriarch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Bronze Age, and Gunjang in the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While a patriarch or matriarch means a leader in an equal society based on blood ties, a Gunjang means a ruler of an unequal society. Gunjang of the Dahori relic was recorded as Jusu or Sinji in Books of Wei and Eastern Foreigners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A patriarch or matriarch was a leader of an equal society during the Bronze Age, when politics and religion were not separated with a patriarch or matriarch serving the roles of a shaman, as well.
    In the early Iron Age, a shaman changed into a chief priest. As a Gunjang appeared as a ruler of an unequal society, politics gradually started to be separated from religion.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was accelerated at the stage of the Dahori relic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religious i mage o f a G unjang w as a lmost g one b y t he s tage o f S arari Relic No.130 during the period.
    A Gunjang(Jusu or Sinji) was buried in nine tombs where bronze daggers and mirrors were buried along with the deceased at the Dahori relic. It is estimated that the authority of a Jusu was inherited by his successor. A Gunjang was in overall charge of an entire village with village affairs divided among the chiefs under him to some degree. They specialized in their respective functions including mining, manufacturing of ironware, cultivation of farming land, taxation and trade, production of food, fighting as a warrior, and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Given that economic discrimination grows according to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it seems that the Dahori relic shows the full-scale division system of labor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rather than the simple collaboration system found in the Bronze Age or early Iro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