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와 국적의 법과 다문화주의 (Legal and Multicultural Dimensions in Migration and National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09
57P 미리보기
이주와 국적의 법과 다문화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국헌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헌법연구 / 20권 / 2호 / 1 ~ 57페이지
    · 저자명 : 권영설

    초록

    오랫동안 국가론의 일반이론을 풍미해 온 것 가운데는 퀠로이터/옐리네크류의 국가요소설을 들 수 있으며, 이때 그 한 요소로서 ‘국민’을 국적중심으로 파악하여 왔었다. 물론 오늘날 이 같은 분석은 분명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21세기적인 ‘다층적 국민’의 개념을 EU의 사례에서 찾아보는 시도 또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인류역사상 그 유례를 찾기 힘든 수준의 대규모이주가 노동력의 이동, 혼인과 취업 등에 따른 이동, 얄타체제의 붕괴에 따르는 국가의 해체와 분리 및 새로운 국민국가의 등장 등 다양한 계기로 이루어지고 있다.
    당연히 우리 또한 이에 예외가 아니다. 국내 외국인이주자 및 귀화인의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하여 바야흐로 200만의 시대로 이행하고 있어, 관련 법과 정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고 하겠다. OECD 국가의 상당수가 이미 이중국적을 허용하고 있으며, 세계 주요국가의 국가구성의 요건이 전통적 의미의 국적인을 넘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낳고 있는 나머지, 이른바 신국민국가의 시대로 설명되기도 한다.
    그러나 바로 이 시점 우리 사회가 당면한 주요 과제의 하나가 엄청난 수의 이주인과 귀화인으로부터 불거진 다문화주의적 통합이 아닐 수 없다. 이념적 쟁점을 비롯한 여러 압도하는 정치사회적 갈등에 가려 있는 외국인 및 국내이주인들이 겪는 문화갈등의 잠재적 폭발성은 작지 않다고 볼 것이다. 이민국가로서의 미국, 그리고 많은 외국이주인의 유입을 오래전부터 경험해 온 민족국가형의 독일 같은 대표적 외국사례, 특히 그 법과 정책을 중심으로 다문화적 통합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시도해 보았다.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seeks to provide insights into relevant trends on the legal problems of migration and nationality, and identify prescriptive possibilities for further study and examination. Migration, as old as humanity, might be called one of the greatest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As with other aspects of globalization, including trade, capital flows, and media, it gives rise to immense anxieties.
    Korea, hitherto known for her homogeneity of national membership, is also faced with the growing concern over the immigrants numbering well over one million. Yet one has to note that the explosive increase in labor migrants is largely a culmination of structural changes on the industrial sectors of Korea. In other words, the Korean society has contributed to migrant flows, for which it should share in some form or another responsibility for integrating settled migrants rather than disparaging them as 'unwanted aliens'. It is in this perspective that the multicultural integration emerges on the key national agenda.
    By and large sovereignty and nationality/citizenship have been two generic principles of the nation-state before the emerging massive immigration poses challenges and revisions on the traditional tenets governing them. The United States, the most representative immigration nation, and Germany, the self-proclaimed zero-immigration state, respectively have exhibited over the past two decades dramatic changes in both law and policy. Which of the aforementioned option models Korea would pursue is yet to be s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헌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