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The Formation and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0.04
38P 미리보기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44호 / 351 ~ 388페이지
    · 저자명 : 여중철

    초록

    이 글은 1990년대부터 우리 사회에 나타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과 국제결혼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것에 대한 연구성과를 발판으로 그간에 나온 논문들과 신문자료, 인터넷 검색자료 등을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①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단일민족론에 대한 담론과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 6・25전쟁과 국제결혼, ②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 ③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 건강한 다문화사회 건설을 위한 제언을 주 내용으로 담고 있다.
    우리는 흔히 스스로 ‘단일민족’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단일민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유전적 동질성을 획득했다는 의미이지 한국인의 기원이 하나라는 의미는 아니다. 오히려 한국인은 동아시아 내에서 남방과 북방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이뤄져 형성된, 다양성을 지닌 민족이다. 여러 가지 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지금까지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단일민족에 대한 그간의 생각을 수정할 때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국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를 넘어선 만큼 대한민국도 이제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다문화가족은 도시지역 보다 농촌지역에서 더 많이 볼 수 있다. 농촌지역에서의 가족관계는 핵가족 직계가족에서의 가족관계를 넘어 친족관계까지로 확대되어 있어 도시에서의 그것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 며느리가 이해해야 할 가족관계가 광범위하고 복잡하여 가족생활에의 몰입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어온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으로는 ① 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 부적응 문제, ②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부적응 문제, ③ 다문화가족에 대한 언론의 편견조장, ④ 가정폭력문제. ⑤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곤란, ⑥ 국제결혼 중개업자들의 도덕적 문제, ⑦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교육문제를 드는 경우가 많다.
    첫째, 「혼혈 및 혼혈인, 국제결혼」에서는 단일민족에 관한 종전의 개념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혼혈 및 혼혈인에 대한 인식은 아직 변화의 기미가 보이지 않고 6・25전쟁은 국제결혼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어 지금의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족 형성의 기틀을 제공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가족관계」에서는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배경을 설명하고 2000년대 들어 형성되기 시작한 다문화가족의 형성과정과 그들의 가족관계에 대하여 간략히 검토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족의 문화적 적응」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적응과 다문화가족 자녀의 문화적 적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다문화가족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한국사회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문화사회로 향해가는 배경에는 6・25전쟁을 전후한 국제결혼, 1990년대 초반 외국인근로자의 유입, 2000년대 들어서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외국인과의 결혼 등이 자리잡고 있고 문화적 적응이라는 의미로 교육을 통해 이주자의 동화를 지향하는 것은 곧 다른 형태의 차별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which emerged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1990s an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wit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et-based data, this article discusses the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ternational marriages. Specifically, the main issue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①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ternational marriages-discussions on single-race and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the Korean War and international marriages, ②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the influx of workers from oversea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③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cultural adjust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proposals for the construction of healthy multicultural society.
    We, Koreans, generally refer to Korea as a single-race nation. Here, a single-race nation does not mean that the origin of Korean people but means that Koreans have acquired genetic homogenenity with time. Koreans were formed by the genes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 and they are a race of people with ethnic diversity. Based on the various kinds of data,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it is time for us to modify our ideas of a single-race nation.
    It is reported that there are more than 1 mill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Experts assume that since the foreigners take up 2% of Korea’s population, Korea has set foot in the age of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multicultural families are more easily found in the rural areas rather than in urban areas. In the rural areas, the family relation has extended from nuclear immediate family to kinship and this kind of aspect has a big difference with that of the urban areas. Accordingly, the family relations get widened and more complex which make foreign wives to put more effort in their family life.
    The drawbac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which have been discusses are as follows: ① cultural mal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② the problems of social maladjust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③ promoting bias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by press ④ the problem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⑤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⑥ the moral problems of matchmakers of international marriages ⑦ the educational problem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in terms of racial mixture, multiracial people and international marriages,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previous concept of a single-race nation and that there is a lack of changes in the awareness of racial mixture and multiracial people. In addition,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ternational marriages have served as a basi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present.
    Second,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family relations, this article explicate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briefly discusses the forma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family relations.
    Third, in terms of the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tural families, this article inquires into the cultural adjustment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raws out a conclusion that bilingual acquisition of the children will be helpful in enhancing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As a result, international marriages around the Korean War, the influx of foregin workers in the early 1990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s with the opening of the 21st century account for the Korean society’s change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n inclination to assimilate foreign immigrants through education in a sense of cultural adjustment can be a different form of discri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