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사회와 국어교육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Multicultural Socie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04
21P 미리보기
다문화 사회와 국어교육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학연구 / 34호 / 5 ~ 25페이지
    · 저자명 : 윤희원

    초록

    다문화 가정은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근로자 가정, 새터민 가정 등을 말하는데 이들 가정은 사회 부적응, 한국어에 대한 숙달도 부족, 한국 문화와 자국 문화의 격차 등에서 비롯된 가정 문제, 학교 문제, 사회 문제를 안고 있다.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나 문화, 정체성 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인 부모의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 및 문화 이질성 극복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국제결혼 가정 자녀는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학습 부진, 정체성의 혼란, 집단 따돌림 등의 건강하지 못한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고 있으며 학교 생활에도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어 사용 실태를 통해 분석해 보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능력은 기초 지식이나 상식이 결핍되어 있고 논리적 사고 및 추상적 사고 능력이 부족하다. 그리고 감각적 표현이나 직관적 판단이 한국인의 보편적인 판단과 다르기 때문에 학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큰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교육의 현실을 고려할 때 (한)국어 교육의 계획과 실천을 위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요구(needs)와 욕구(wants)를 조사하고, (한)국어 교육에 관한 최소한의 심의․검정 제도를 마련하여 운영해야 하며, ‘봉사’와 ‘전문적인’ 교육을 구별하여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격을 갖춘 인재를 길러야 한다. 또한 다문화 사회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실적인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한)국어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교수법을 개발하고, (한)국어 교육의 대상을 외국인에 한정하지 말고 다문화 가정에까지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를 위한 연구자의 양성과 현장 교사의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적 배경을 염두에 두고 교육계와 학계, 사회 각층이 함께 부단한 노력을 통해 (한)국어 교육의 문제의 해결에 힘써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e intermarriage families, foreign workers’ families and “sae tomin(North Koreans living in South Korea)”. They have home problems, educational problems and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social maladjustment, Korean language competence issu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their native culture.
    Foreign mothers’ Korean language competence effects their children’s Korean language competences, cultrural achievements, and identities. Therefore, we should understand foreign parents’ native culture and also need to b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well as needing teac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urthermore, we should overcome stereotypes and better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Due to their low Korean language competence, children of intermarriage families suffer from poor progress in their studies, identity confusion, and bully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use,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dearth of basic knowledge and common sense as well as not being able to think logically or critically when they study. Moreover, they have some trouble in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they cannot express and judge in different ways from general Korean people.
    For the plan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must first survey ‘needs’ and ‘wa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we must create deliberation and authorization systems. Last we need to cultivate people of talent who qualify themselves for specialities that differ from volunteer activities. To meet these needs, teaching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from foreign students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searcher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Within the framework of what it means to be:“Korea”, people of all social strata, including those in education and research fields should continu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