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구조 파악 및 내용 이해 촉진을 위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 개발 및 효과성 연구 (A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Visual Design Strategy on Text Information Structure for e-Learning Contents Desig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06
26P 미리보기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구조 파악 및 내용 이해 촉진을 위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15권 / 2호 / 133 ~ 158페이지
    · 저자명 : 성은모

    초록

    이러닝 학습활동 가운데서 텍스트를 읽고 텍스트의 구조를 파악함으로서 그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은 성공적인 학습활동을 영위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이러닝 콘텐츠에서 텍스트 및 텍스트 정보의 구조를 어떻게 시각적으로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처방적 설계 전략의 논의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텍스트 정보 구조를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텍스트의 내용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를 위해 필요한 설계 구성 요소 및 여러 전략들을 분석되었고, 텍스트 정보 구조의 개념 및 설계전략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개발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설계 전략을 적용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실제 개발하고 이를 실행하여 학습 효과성을 확인해 봄으로서 설계전략의 타당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실험연구에서는 텍스트 정보 구조의 시각적 설계전략을 구분 적용하여 네 가지 유형의 이러닝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이 유형에 따라 대학생 126명을 무선할당 배정하여 네 개의 집단을 구성한 후 학습자들의 학습과제 수행능력으로써 텍스트 정보 구조 파악 및 내용 이해의 정도가 측정되었다. 실험 결과, 텍스트 정보 구조 파악(F=12.80, p<.01) 및 텍스트 내용 이해(F=5.83, p<.01)에 있어서 텍스트 정보 구조의 외형적 형태에 대한 설계전략을 적용한 이러닝 콘텐츠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텍스트 정보 구조의 전체적 외형에 대한 시각적 설계전략이 텍스트를 읽는 방식에서 보는 방식으로 전환하게 만들었으며, 텍스트 정보 구조에 대한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하게 함으로써 텍스트 내용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explored the visual design strategies of text information structure for developing e-Learning content. The present study has comprised two types of research: the initial developmental research and the experimental research. In the initial development stage, factors including properties of text structure have been drawn on the basis of existing researches, and then visual design strategies have been devised. To visually represent the text structure available Human Visual Intelligence were explored. In the experimental stage,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ose principles, an e-learning contents in four types covering the principles has been developed. 126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into four groups, and read the digital texts, whose topic is the concept and some theories of distance educati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can depict the students' awareness of text structure and text comprehension.
    As a result of development research, physical factors including properties of text structure are categorized into macro and micro ones. As for macro properties, outline, space, volume, density, and depth are included; as for micro properties, layout, size, length, and signals of the texts are included. Design strategie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text structure included design of information display, browsing, navig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control. As a result of experiment research, findings regarding to usability and learning effectiveness(awareness of text structure, text comprehension) were as follows; As awareness of text structure concerned, design principle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structure form was most effective(M=8.20, SD=4.74, F=12.80, p=.00). As text comprehension concerned, design principles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structure form was most effective(M=17.57, SD=1.37, F=5.83, p=.01).
    In designing digital text, the result of this study seemed to explain the positive potential of visual representation design strategies of text structure. Online learners tend to construct mental model and learn by constructing the meaning, using visual representation referential processing which readers comprehend the details of the 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