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수업에서 마이크로러닝 설계원리 개발 및 효과성 검증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Microlearning Design Principles in College Clas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03
40P 미리보기
대학수업에서 마이크로러닝 설계원리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38권 / 1호 / 179 ~ 218페이지
    · 저자명 : 도현미, 김민정

    초록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마이크로러닝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러닝 정의, 구성요소, 설계원리를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절차는 1) 선행문헌 검토, 2) 전문가 델파이, 3) 현장 평가를 통한 효과성 검증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에서의 마이크로러닝을 ‘하나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가 필요한 순간(Just-in-time)에 자기 주도적으로 짧은(micro) 콘텐츠를 활용하는 능동적 학습활동’으로 정의하였으며, 구성요소는 목표, 콘텐츠, 활동, 개인학습환경, 상호작용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애자일 마이크로러닝 설계모형과 설계원리(13개) 및 상세지침(31개)를 개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도출된 설계원리를 적용하여 마이크로러닝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대학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러닝을 적용한 집단이 적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수업 흥미와 학업성취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 효과적으로 마이크로러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애자일 설계모형과 구체적인 설계원리를 제공하고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실제 대학수업에 마이크로러닝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구체적인 가이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and develop the elements and design principles of microlearning as well as verify its effectiveness so as to design and develop microlearning for a university class. The literature was first reviewed. Subsequently, the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by relying on specialists. Finally, field evaluation was employ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icrolearning. The latter was defined as a proactive learning activity in university in which learners utilize microcontents to realize learning goals in a self-directed manner. Moreover, its elements comprised goals, contents, activities,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interaction. By employing the Delphi technique, the agile microlearning design model, 13 design principles, and 31 detailed guidelines were develop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microlearning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design principles and implemented in an actual class at univers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comparison to the group in which microlearning was not employed, the one in which it was implemented exhibited a higher interest in class and performed better academically. This stud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rofessors who aim to utilize microlearning in actual university classes as it has provided an agile design model and design principles. Furthermore, its effectiveness has been verified, thus suggesting that microlearning could be effectively employed in university cla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