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기에 늦은 소송상 상계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Eine Untersuchung zum Problem der verspäteten Prozessaufrechnung)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3.09
37P 미리보기
시기에 늦은 소송상 상계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70호 / 241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태영

    초록

    상계항변은 소구채권의 존재가 인정되는 것을 전제로 반대채권을 희생시켜 소구채권의 소멸을 주장하는 것이므로 소송의 단계에서 조기에 제출될 것을 합리적으로 기대하는 것이 어려운 반면 그 심리에 있어 불가피하게 반대채권의 존부를 심리하여야 하므로 심판의 대상이 확대되어 자칫 심리의 지연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소송의 당사자가 소송에서 상계항변을 제출하는 형태는 소송 외에서 상계권을 행사 하고 그 법적 효과를 소송에서 주장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소송상 상계로서 소송에서 처음으로 피고가 그 반대채권을 가지고 원고의 소구채권과 상계한다고 진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송상 상계는 형성권으로서의 상계권행사에 따른 실체법상의 문제와 상계항변이라는 피고의 방어방법의 제출에 따른 소송법상의 문제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피고가 소송상 상계를 하였으나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 등으로 상계항변이 판단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 채 소구채권을 인정하는 본안판결이 확정되는 경우에도 반대채권이 소멸하는지가 문제된다. 아울러 만약 반대채권이 소멸하지 않는다면 반소제기나 청구이의의 소제기가 가능한지도 문제된다. 아울러 반대채권에 기한 반소제기나 청구이의의 소는 원고의 소구채권을 종국적으로 실현시키는데 지연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이는 특히 집중심리주의를 채택한 현행 민사소송법 하에서 그 문제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반대채권의 실현 또는 그 담보적 기능의 확보라는 민법상 상계제도의 취지도 간과될 수 없다.
    소송상 상계에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의 각하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149조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상계항변의 특수성이 고려되어 판단되어야 한다. 소송상 상계가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으로서 각하된 경우에도 당사자의 의사는 상계항변이 법원의 판단을 받는 것을 조건으로 상계의 효과가 생기게 하는 것에 있으므로 소송상 상계에 제공된 반대채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소송상 상계가 실기한 공격방어방법으로 각하되더라도 피고는 반대채권으로 반소나 청구이의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집중심리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현행 민사소송법에서의 변론의 집중 또는 심리촉진의 요구와 반대채권의 실현 또는 그 담보적 기능의 확보라는 민법상 상계제도의 취지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상계항변의 변론분리제도나 유보판결과 같은 독일민사소송법의 규정을 우리 민사소송법에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권리자의 소송을 통한 권리실현의 과정에서는 실체법적 문제와 소송법적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실체법과 소송법이 체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현행 법제 하에서도 양자를 조화시키기 위한 유연한 입법과 그 해석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Die Aufrechnungseinrede ist die Behauptung des Beklagten, dass die vom Kläger geltend gemachte Forderung nicht mehr bestehe, was aber nicht nur die Entstehung dieser Klageforderung voraussetzt, sondern auch die Gegenforderung des Beklagten zum Opfer bringt. Es ist daher kaum zu erwarten, dass diese Einrede relativ im frühen Stadium des Prozesses vorgebracht wird. Ausserdem muss das Prozessgericht nun zusätzlich auch darüber entscheiden, ob die Gegenforderung zu recht besteht. All dies kann zur nicht wüns- chenswerten Verzögerung des Prozesses führen.
    Die Parteien können freilich zuvor außer dem Prozess die Aufrechnung erklären und danach im Prozess nur die Rechtsfolgen dieser Erklärung behaupten. Die Aufrechnung kann aber auch erst während des Prozesses erklärt werden. Der Beklagte gibt dann nämlich zum einen eine materiell-rechtliche Willenserklärung ab, zum anderen trägt er ein prozessuales Verteidigungsmittel vor. Es fragt sich daher, ob die Gegenforderung auch dann erlischt, wenn die verspät vorgebrachte Aufrechnungseinrede aus prozessualen, nicht aber aus materiell-rechtlichen Gründen zurückgewiesen wird und somit der Kläger seinen Prozess gewinnt. Falls dies nicht der Fall ist, dann kommt weiterhin die Frage, ob der Beklagte anschließend aufgrund der noch bestehenden Gegenforderung eine Widerklage oder eine Vollstreckungsgegenklage erheben kann.
    Bei der Anwendung des § 149 KZPO auf die Prozessaufrechnung muss man deren Besonderheiten berücksichtigen. Wird die Aufrechnungseinrede zurückgewiesen, dann sollte die Gegenforderung ohne Weiteres bestehen bleiben. Denn das entspricht dem Willen des Beklagten, der nur dann die Rechtsfolge der Aufrechnung begehrt, wenn seine Aufrechnung- seinrede zur Sachentscheidung angenommen wird. Ferner ist es zweckmäßig, dem Beklagten trotz der Zurückweisung seiner verspäteten Aufrechnungseinrede die sich auf die Gegenforderung stützende Erhebung einer Widerklage oder einer Vollstreckungsgegenklage zu erlauben. Dadurch können die prozessrechtliche Forderung nach der Konzentration der Verhandlung bzw. nach der Beschleunigung des Verfahrens einerseits und die materiell-rechtliche Funktionen der Aufrechnung (Tilgungs-und Vollstreckungsfunktion) andererseits miteinander harmonisiert werden. Zur gründlichen Lösung der Probleme wird wohl die Einführung des deutschen Rechtsinstituts wie der Prozesstrennung oder des Vorbehaltsurteils beitrag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려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