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함민복 시에 드러난 눈물의 긍정성 - 슬픔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 (The Positivity of “Tears” in Ham Min-bok’s Poetry - Focusing on the Intentionality of Sadnes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4.07
24P 미리보기
함민복 시에 드러난 눈물의 긍정성 - 슬픔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86권 / 86호 / 275 ~ 298페이지
    · 저자명 : 박지학

    초록

    이 연구는 주관적인 정서인 슬픔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향성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슬픔을 지향성으로 접근하면 지향하는 바(지향내용)와 심리상태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지향성에는 방향성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화자와 세계의 위치를 결정짓는다. 즉 화자 쪽에서의 세계는 어떠한지, 세계 쪽에서 화자는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가 지향성을 파악하는 요소가 된다. 이처럼 지향하는 방향에 따라 부합내용이 나타난다.
    화자가 지향적 상태를 추구할 때 언어는 진정성을 수반한다. 화자가 대개 향해 있으려 하는 지점은 이상적 조건이 있는 곳이다. 따라서 현실에서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면 만족조건으로 나타난다.
    함민복 시에서 지향성의 접근 방식이 의미 있는 이유는 함민복의 시가 긍정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함민복은 가난을 응시하면서도 가난에 머물러있지 않는다. 가난에 함몰하게 되면 고통에 갇혀 좌절할 수밖에 없다. 함민복 시는 가난 역시 긍정적인 것으로 치환한다. “눈물”에 드러난 현실에서의 고통 역시 마찬가지다. 따라서 함민복 시에 드러난 슬픔은 회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향에 ‘향해 있다’. 이것이 지향성으로 함민복 시를 분석한 결과이다. “눈물”과 “눈꺼풀”은 치유의 가능성까지 함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뒷받침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ubjective emotion of sadness through the lens of intentionality. Examining sa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ntionality allows for a simultaneous understanding of both the intentional content and the psychological state. Intentionality also possesses directionality, which determines the positions of the speaker and the world. Key elements in this analysis includ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world from the speaker’s perspective and the speaker’s position within the world. These elements are crucial for understanding intentionality, with the content of intention emerging based on this directionality.
    When a speaker seeks an intentional state, language is accompanied by authenticity. The point the speaker generally aims for is where ideal conditions exist. Therefore, when these conditions are met in reality, they manifest as conditions of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approaching Ham Min-bok’s poetry through intentionality lies in his pursuit of positivity. Although Ham Min-bok observes poverty, he does not remain ensnared by it. If one becomes engulfed in poverty, they inevitably become trapped in suffering and despair. Ham Min-bok’s poetry transforms poverty into something positive. Similarly, the suffering depicted in “Tears” is approached in the same manner. Thus, the sadness in Ham Min-bok’s poetry is directed toward a positive, recoverable direction. This analysis through intentionality reveals this aspect of his poetry. “Tears” and “Eyelids” further support this by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