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복지사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 (Who Are Social Workers and What Do They Do? - a social worker's identity told by a social workers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5
36P 미리보기
사회복지사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21권 / 2호 / 53 ~ 88페이지
    · 저자명 : 임정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하여 그간의 직무분석을 넘어서서 사회복지사 자신들이 말하는 역할과 정체성을 찾아보고자 했다. 사회복지사가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시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내가 생각하는 사회복지사는 ( )이다”의 개방형 질문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방법은 내용분석 중 요약적 내용분석을 적용하여 사회복지사에 대한 정의에서 핵심 단어를 찾아내고 빈도와 함께 단어와 내용의 맥락적 의미를 해석해 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사회복지사 678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역할, 가치, 기능, 기본역량 및 실천역량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먼저 역할에 대해서는 ‘만능엔터테이너/멀티플레이어’, ‘전문가’,‘이웃, 가족, 친구같은 동행자/동방자/지지자’, ‘복지수행자/공공성 대리자’, ‘가치와 소명을 가진 직업인’, ‘감정노동자’ 등으로 나타났다. 주요한 가치로 나타난 것은, ‘변화’, ‘행복/따뜻함/희망’, ‘인권/사람다운 삶‘, ’공동체/더불어 삶‘, ’정의/평등‘, ’희생/봉사/나눔‘, ’살기 좋은 세상‘,’삶의 질‘ 등의 용어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기능으로는 ‘안전과 보호’의 기능을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사회연대’도 주요한 기능으로 보고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기본역량으로는 ‘도전과 열정’, ‘사랑’,‘자기강화/계발’, ‘감동’, ‘감성과 이성, 실천의 조화’, ‘진정성’ 등이 주요한 역량으로 나타났다. 실천역량으로는 ‘관계형성, 연결, 고리’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먼저 사회복지이론과 실천교육에 있어 분절되어 있는 사회복지실천이론의 통합적 접근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평가와 재정의가 직무분석을 넘어서서 논의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사회복지가 지향해야 할 가치와 변화를 위한 노력과 성과를 공유하고 좀 더 밝고 신나게 일할 수 있는 미래상과 비전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more about the social worker's identity and roles than the job analysis so far. In order to investigate who the social welfare workers are and what they think they do, this research was done by filling out the form of open questions such as “The social works that I think are ( ).” to the social welfare workers in Seoul, Korea. The analysis method was designed to find key words in the defini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by applying summary content analysis during the content analysi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words and contents together with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678 social workers in Seoul were categorized as roles, values, functions, basic capabilities, and practical capabilities. First of all, roles were 'all-round entertainer/multi player', 'expert', ‘companion/partner/supporter like neighbors, family members, and friends, 'welfare executives/public representative', 'occupier with values and callings', and 'emotional worker'. The main values indicated include 'change,' 'happiness/warmness/hope', 'human rights/authentic human life'; 'community/together life', 'justice/equality', 'sacrifice/service/sharing', 'a world of good living' and 'quality of life'. As the functions of social welfare workers, 'safety and protection' were primarily carried out, and 'social solidarity' was also seen as a major function. The basic skills of social welfare workers include ' challenge and passion', 'love', 'self-restraining/development', 'impression', 'emotion and reason, harmony of practice' and 'truthfulness'. The highest level of practicality was the ability to act as a relationship formation, connection and ring.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an integrated approach to social welfare practice theory, which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areas; social welfare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 Moreover, evaluation of the roles of social welfare works and re-definition should be discussed beyond the scopes of job analy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efforts and achievements for the values and changes that social welfare works to pursue, and also necessary to suggest the visions for a brighter and more exciting work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