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상음향의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TV광고음향을 뇌 지수 분석기법으로- (Influences of a Sound Design of Media Contents on Communication Effects -TV-CF Sound Using a BQ-TEST)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08.09
10P 미리보기
영상음향의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TV광고음향을 뇌 지수 분석기법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 수록지 정보 : 방송공학회 논문지 / 13권 / 5호 / 602 ~ 611페이지
    · 저자명 : 유회종, 문남미, 서현주

    초록

    지금까지 TV, 영화, 광고 등 미디어콘텐츠 제작에서 사운드디자인은 스토리를 전달하는 청각효과측면에서 전문가의 경험적 느낌에 의하여 주로 진행되었으며, 수용자가 느끼는 시청각적 효과를 적용키 위한 정량적 연구와 검증은 아직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의 차이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 이다. 연구방법은 60초의 TV광고영상을 음악으로만 디자인한 실험영상(A트랙)과, 음향효과와 음악으로 디자인한 실험영상(B트랙)을 시청하는 동안 뇌파측정을 통하여 얻어진 뇌 지수(Brain Quotient)를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사운드 디자인 설계가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를 알아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인지효과의 해당 뇌 지수인 주의지수(ATQ)를 A트랙과 B트랙을 비교한 결과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이 음향효과디자인보다 수용자에게 더 높은 관심과 집중도 를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감성효과에 해당하는 정서지수(EQ)를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이 역시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이 음향효과위주의 디자인보다 정서적으로 감성효과가 높게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기억활성효과에 해당하는 뇌 활성지수(ACQ)는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B트랙 군보다 A트랙 군이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지금까지 강한 집중을 위해서는 음향효과디자인이, 정서적인 감정은 음악디자인이 관여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TV광고음향의 한정이 있기는 하나 집중도 에서 음악디자인이 오히려 효과가 높을 수 있으며, 정서적인 관여는 역시 음악디자인이 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기억활성도 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점은 피험자숫자를 늘리는 등 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디어콘텐츠 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커뮤니케이션효과의 영향을 뇌파측정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알아 본 것에 의의가 있으며, 사운드디자인제작현장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sound design performed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such as TV, movie, and CF, have been conducted through the experienced feeling of some experts in the aspect of auditory effects that communicates stories. Also,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and verification to apply visual and auditory effects felt by users.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investigates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effects in which the difference in a sound design in the productionof media contents that affects users. This study analyzed the brain quotient (BQ) obtained by the measurement of brain waves during the watching of an experiment image (track A) designed by using a 60-second TV CF only and an experiment image (track B) designed by sound effects and music and investigated which sound design represents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effects for user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of the attention quotient (ATQ), which is the BQ of recognition effects, between A and B tracks, the track A showed a higher difference in activation than the track B. It can be analyzed that the sound design based on music showed higher levels i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than that of the sound effect design.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emotional quotient (EQ), which is emotional effects, between A and B tracks, the track A represented a higher difference than the track B. It means that the sound design based on music showed higher contribution levels in emotional effects than that of the design based on sound effects. Third, i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the left and right brain equivalent quotient (ACQ), which is memory activation effects, between A and B trac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lthough there are some constraints in TV CF based on the conventional theories in which sound effects based design affects strong concentration, and music based design affects emotional feeling, the music based design may present more effects in continued concentration. In addition, it was evident that the music based design showed higher effects in emotional aspect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ubjects for improving the little differences in ACQ. This study is useful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on effects of the sound based design in media contents as a quantitative manner through measuring brain waves and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the basic materials in the fields of sound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공학회 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