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深源寺 소장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의 農曆 (Lunisolar Calendar of ‘Gilhyungchukwolhoenggan Goryeo woodblock(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 in the 13rd century possessed by Simwonsa(深源寺))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12
50P 미리보기
深源寺 소장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의 農曆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52호 / 310 ~ 359페이지
    · 저자명 : 위은숙

    초록

    본고는 경북 성주군 가야산 심원사가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647호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의 農曆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이 고려목판은 貞祐7년(1219) 浮石寺 願堂主 重太師 知○이 편찬한 것으로, 2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고에서는 농력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이 역서는 현존하는 유일의 고려역서이면서, 가장 오래된 농업관련 문서이기도 하다.
    농력은 전체 20개 조목으로 耕田耘田吉日, 浸種下秧吉日과 곡물류로는 種粟吉日, 種大豆吉日, 種小豆吉日, 種大小麥吉日, 種黍穄吉日, 種麻吉日, 種蕎麥吉日, 種稗吉日, 種荏吉日, 種稻(?)吉日, 種五穀吉日의 11개조, 소채류로는 種菁吉日, 種蒜.葱.薤吉日, 種芋(?)吉日, 種苽吉日, 種薑吉日의 5개조와 種茶吉日, 種植吉凶日로 구성되어 있다.
    농력은 농업기술에 대한 내용은 없고 작물파종 등의 길흉일에 대한 간지만 수록되어 있다. 전체구성은 齊民要術과 같은 종합농서의 체제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곡물류의 경우 제민요술의 순서와는 다르기는 하지만 旱田작물을 우선 배치한 점, 소채류의 경우 특히 십자화과 채소류 중 순무를 중시한 점 등 화북농업의 영향력이 컸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편으로 13세기 영주 부석사 지역의 농업현실이 반영되고 있다. 이앙법이 중시되었다는 점, 唐이후 중국에 등장하는 蕎麥, 茶 에 대한 파종길일이 수록되었다는 점이 그것이다.
    농력은 三曆, 會同曆, 歲時(?)曆, 集正曆 등에서 작물길흉일을 발췌하였다. 그런데 이들 역서와 유사한 서명이 宋史 藝文志의 五行類, 曆算類에 있는 것으로 보아 송력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농력의 길흉일은 元의 居家必用事類全集의 길흉일과 많이 유사한 면을 보여준다. 농력보다 후대에 편찬된 居家必用事類全集은 농력에서 인용한 역서 중 三曆, 會同曆계통의 역서를 참고한 것 같다.
    농력의 농사길흉일은 송이전의 중국농서에 기록된 농사길흉일에 비해 훨씬 정치한데, 그것은 송대이후 성리학단계에 음양오행사상이 더욱 차원을 달리하여 철학적으로 발전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이 농력은 고려의 음양오행사상의 발전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실생활인 농업에도 음양오행사상이 얼마나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보여준다.
    이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을 편찬한 영주 부석사는 신라통일기 화엄종의 중심사찰로 의상이 창건한 이래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寺格이 높았던 사찰이었다. 따라서 부석사가 직간접적으로 관리, 경영한 많은 田莊을 보유하였을 것이다. 농력의 편찬목적은 그러한 사원농장경영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역서를 부석사가 사적으로 편찬할 수 있을 정도로 농업과 역학에 대한 전문지식을 보유하였던 것 같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analysis for treasure No. 1647 lunisolar calendar of ‘Gilhyungchukwolhoenggan Goryeo woodblock’ possessed by Simwonsa located in Mt. Gaya Seongju-gun, Gyeongbuk.
    The woodblock was published by Buseoksa Wondangju Jungtaesa Ji○(浮石寺 願堂主 重太師 知○)in the 7th year of Jeongwoo (1219), and it is composed with two sides. However, only the lunisolar calendar is analyzed in this paper. This almanac is the only one published in Goryeo Dynasty, and the oldest document for agriculture.
    It is composed with Gyeongjeonunjeongilil(耕田耘田吉日), Chimjonghaanggilil (浸種下秧吉日), 11 articles of grain including Jongsokgilil(種粟吉日), Jong- daedugilil(種大豆吉日), Jongsodugilil(種小豆吉日), Jongdaesomaekgilil(種大小麥吉日), Jongseojegilil(種黍穄吉日), Jongmagilil(種麻吉日), Jonggyomaekgilil (種蕎麥吉日), Jongpaegilil(種稗吉日), Jongimgilil(種荏吉日), Jongdogilil(種稻吉日), and Jongohgokgilil(種五穀吉日), 5 articles of vegetables including Jongcjeongilil(種菁吉日), Jongsan,chong,haegilil(,種蒜.葱.薤吉日)Jongwoogilil (種芋吉日), Jonggwagilil(種苽吉日), and Jongganggilil(種薑吉日), and Jong dagilil(種茶吉日), Jongsilgilhungil(種植吉凶日) total 20 articles.
    There`s no contents of agricultural techniques in the lunisolar calendar, containing the sexagenary cycle for good or ill luck day for crop seeding. The entire composition was effected by the system of integral agricultural books including Jeminyosul(齊民要術). Despite it does not follow the order of Jaeminyosul in the grain part, it shows a huge impact of Hwabuk agriculture in the 13rd century of Goryeo as it places upland crops first and put emphasis on radish among crucifers.
    On the other hand, it reflects the agricultural condition in the 13rd century of Yeonju Buseoksa region as it shows the importance of transplantation of rice seedlings and good and ill luck day for seeding off fagopyrum esculentum and tea.
    The lunisolar calendar is composed with good and ill luck day for crops extracted from Samryeok(三曆), Heidongryeok(會同曆), Sesi(?)ryeok(歲時曆), and Jibjeongryeok(集正曆). The similar epigraph is found in the title of Ohhaegryu(五行類) and Yeoksanryu(曆算類) of Sung Dynasty history Yemunji, but it is unclear whether they are almanacs published in Sung Dynasty or almanac published in Goryeo with the influence from others in Sung. Anyway, it seems certain it was hugely influenced by calenders in Sung Danasty.
    Good and ill luck day of the lunisolar calendar has similarity with the one in Goegapilyongsaryujeonjip(居家必用事類全集).
    Good and ill luck day of the lunisolar calendar is more delicate than one found in Chinese agricultural books, and it has relevance with philosophical development of Five-Elements school idea in neo-Confucianism after Sung Danasty. The lunisolar calender has the same way with the development of Five-Elements school idea in Goryeo, showing how it gives influence in practical life, agriculture.
    Yeongju Buseoksa, published ‘Gilhyungchukwolhoenggan Goryeo woodblock’, was the central temple in Unified Silla, and it was a temple with higher class until Goryeo Dansty since it was established by Euisang. The goal of publishment of the lunisolar calender was for temple farm management. Buseoksa might have knowhow for agriculture and almanac as the temple could publish the almana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