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Study of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exposed to the Sex by their Parents-focusing on self-esteem and socialit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6
20P 미리보기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린부모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열린부모교육연구 / 8권 / 2호 / 91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미애, 서혜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부모로 인해 성노출 피해를 경험했고 현재 부모로부터 분리되어 아동복지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 2명이었다. 2012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25회기에 걸쳐, 주1회 회당 60분간 실시한 모래놀이치료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매회기별 아동의 언어적, 행동적 특징을 관찰하여 기록된 일지와, 사전 사후 자아존중감 척도(Self Esteem Scale: SES) 및 사회성 척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래놀이치료를 하기 전과 후 자아존중감 검사와 사회성 검사를 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평균의 증가를 보였고, 모래놀이치료 회기별 행동 관찰에서도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사회성 검사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내었다. 이는 부모로 인한 성노출 피해아동의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치료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고, 자신에 대한 인정과 수용이 타인에 대한 인정으로 이어지면서 사회성도 증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에 의한 성노출 피해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성 발달을 도와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모래놀이치료를 활용하여 직접적 성폭력 혹은 물리적 성학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 연구들에서 벗어나, 피해를 규명하거나 피해정도를 가늠하기 어려운 성노출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과 모래놀이 활동의 활용범위를 넓히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argeted children living in children’s welfare facilities who were affected by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It examined cases of sand play therapy offered to 2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ue to low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analyzed ‘the effect of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affected by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ociality’. It analyzed sand play therapy that was offered for 25 sessions from March to December 2012, on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and to verify the research result, it compared the log that was recorded by observing children’s linguist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each session, and self-esteem scale(SES) and sociality scale before and after therapy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0.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f-esteem test and sociality test before and after sand play therapy, self-esteem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after the experiment showed an increase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Behavior observation of each session revealed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sociality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during the process of sand play therapy, the children affected by the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ir self-esteem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ir therapist, and the acknowledgement and acceptance of themselves led to the acknowledgement of others, eventually increasing their sociality. This study targeted children who have trou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due to the sexual exposure of their parents and aimed to help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ociality through sand play therapy so that they can form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earch result seen from abov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took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used sand play therapy for children who suffered from direct sexual assault or physical sexual abuse. It focused on children affected by sexual exposure, whose damage is hard to clarify or measure.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use of sand play therapy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부모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