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정폭력을 목격한 여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Girl Who Witnessed Domestic Violenc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3.09
38P 미리보기
가정폭력을 목격한 여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아동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아동복지연구 / 11권 / 3호 / 115 ~ 152페이지
    · 저자명 : 부정민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twelve-year-old girl –“Jo”–who witnessed domestic violence by her father towards her mother from infancy into her childhood. This study employed Kalff’s sandplay techniques based on Jungian psychoanalytic theory as its therapeutical approach to Jo. Jo received counselling for twenty-three sessions over a period of six months during which time she made twenty sand boxes. Jo’s stories about her sand boxes and the meanings of her symbol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Kalff’s phases of ego and psychic development. Through the process of sandplay therapy, many characteristics of Jo’s inner world were reborn and nurtured. Thus empowered, she was able to seize the center of her Self. Her old Self had been characterized by stubbornness, abusiveness, selfishness and even violence. But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her ego emerge and develop from her Self, Jo’s maladaptive behaviors gradually decreased and she became able to healthily adapt to her circumstances with her family, in the women’s refuge shelter, and at her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andplay therapy may be an efficient therapeutic technique for children who have witnessed family violence.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twelve-year-old girl –“Jo”–who witnessed domestic violence by her father towards her mother from infancy into her childhood. This study employed Kalff’s sandplay techniques based on Jungian psychoanalytic theory as its therapeutical approach to Jo. Jo received counselling for twenty-three sessions over a period of six months during which time she made twenty sand boxes. Jo’s stories about her sand boxes and the meanings of her symbol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Kalff’s phases of ego and psychic development. Through the process of sandplay therapy, many characteristics of Jo’s inner world were reborn and nurtured. Thus empowered, she was able to seize the center of her Self. Her old Self had been characterized by stubbornness, abusiveness, selfishness and even violence. But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her ego emerge and develop from her Self, Jo’s maladaptive behaviors gradually decreased and she became able to healthily adapt to her circumstances with her family, in the women’s refuge shelter, and at her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andplay therapy may be an efficient therapeutic technique for children who have witnessed family viol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