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놀이치료 과정에서 놀이치료자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개발: 통합적 접근 기반 (Therapist’s Self-Monitoring Checklist for the Process of Play Therapy in the Integrated Model)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06
23P 미리보기
놀이치료 과정에서 놀이치료자의 자기점검 체크리스트 개발: 통합적 접근 기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 13권 / 1호 / 59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유선, 김영희

    초록

    본 연구는 통합적 접근에서 놀이치료 과정을 점검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여 놀이치료자가 놀이치료 전 과정에서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고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놀이치료 과정의 자기점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놀이치료 과정과 관련된 전공 서적 및 측정도구들을 분석하여 5개 치료적 영역 및 15개 하위 영역에서 총 209문항을 선정하였다. 치료적 영역 및 하위 영역은 아동과 합류에서 ‘사례이해, 긍정적 정서경험, 제한설정 기술’, 놀이반응 기술에서 ‘언어적 반응기술, 비언어적 반응기술’, 저항 다루기에서 ‘침묵 및 철수 저항, 행동화 저항, 저항 다루기 기술’, 전이와 역전이 다루기에서 ‘아동 전이 반응, 내현적 역전이 반응, 외현적 역전이 반응, 역전이 다루기 기술’, 아동의 적응에서 ‘아동의 적응 진보, 아동의 적응을 돕는 기술, 종결 신호’로 구성되었다. 선정된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지수(CVI)를 산출하여 놀이치료 과정의 5개 치료적 영역과 15개 하위 영역에서 총 132개의 자기점검 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각 이론들의 강점을 부각시켜 아동의 정서, 인지, 행동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초보 놀이치료자가 놀이치료 과정에서 치료의 효과 증진을 위해 무엇을 점검하고 아동에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함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ecklist for therapists during their self-monitoring of play therapy. In total, 209 questions were selected based on earlier work on relevant topics and were grouped into five categories and fifteen subcategories to devise the checklist. The section entitled 'joining with the child' wa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understanding case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setting limitations. 'Response skills during play' were classified into the two subcategories of nonverbal response skills and verbal response skills. The subcategories of the section entitled 'dealing with resistance' were silence and resistance with withdrawal, behavioral resistance, and skills for dealing with resistance. 'Dealing with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consisted of the subcategories of transference, internal counter-transference, external counter-transference, and dealing with counter-transference, while the area entitled 'child’s adaptation' was made up of child’s progress on adaption, skills of helping child to adapt, and termination signals. We also used a validity index (CVI) devised by an expert group. In conclusion, 132 items in five therapeutic areas with 15 subcategories on the checklist were designed for therapists to use during their self-monitor activities during the play therapy process in an integrated model. Here, each theory is integrated to deal with children’s emotions, cognition, and behaviors. Moreover, novice play therapists can be provided with guidance on areas to examine to improve their skills as a play therapist and how better to respond to a chi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