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을 향한 남송 문인의 미묘한 시선 — 《蒙韃備錄》과 《黑韃事略》을 중심으로 (Complex and Ambiguous: Mongolia in the eye of Southern Song author―Focused on Mengdabeilu and Heidashilü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4.08
22P 미리보기
몽골을 향한 남송 문인의 미묘한 시선 — 《蒙韃備錄》과 《黑韃事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학연구 / 96호 / 25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진

    초록

    본 연구는 남송 시기 편찬된 최초의 몽골 견문록인 《몽달비록》과 《흑달사략》에 나타난 낯선 이국의 땅과 이민족, 그들의 삶과 문화를 바라보는 남송 문인의 복잡미묘한 시선을 포착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남송 문인이 당시 새롭게 형성된 국제 질서 속에서 타자와 자아의 경계를 어떻게 구분하고 자신의 세계관을 구축해 나갔는지를 추적할 수 있다. 이는 현재까지 두 작품이 주로 몽골제국의 초기 모습을 이해하는 데만 사용된 것에서 한발 나아가 중국의 문학 및 사상 방면에서도 충분히 활용 가치가 있음을 증명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With the fall of the Bei Song dynasty and the re-establishment of the Nan Song Imperial family in the southern area of Chang Jiang, the Song dynasty seemed to be slowly regaining stability, but it was still suffering from the pressures and checks of surrounding ethnic groups such as the Daikin dynasty, Xixia, and Dali, etc. To make matters worse, around the time Emperor Ningzong of Song dynasty ascended to the throne, news came that the Mongols were quickly unifying various tribes in the northern steppes and were rapidly expanding their power. The Nan Song dynasty, which had very little information about this powerful group that was rapidly rising, dispatched envoys to Mongolia several times, and The traveling records created by the literati who participated in this procession are “Mengdabeilu” and “Heidashilüe”. In this study, we aim to capture the complex and subtle perspectives of the literati of Nan Song dynasty looking at unfamiliar foreign lands and peoples, and their lives and cultures, as shown in their two works. Through this, we will trace how the literati of Nan Song dynasty distinguished the boundaries between others and self in the newly formed international order at the time and constructed their own world view. This is a step forward from the fact that these two works have mainly been used to understand the early stages of the Mongol Empire, and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at it is valuable in the field of Chinese literature and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