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功臣會盟錄」에 관한 硏究 (A Study on the Samgongsin-hoemaengr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2.09
31P 미리보기
「三功臣會盟錄」에 관한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52호 / 39 ~ 69페이지
    · 저자명 : 박문열

    초록

    본 硏究는 조선시대 초기의 「三功臣會盟錄」에 관하여 考察한 것으로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三功臣會盟錄」은 開國․定社․佐命의 三功臣이 太宗 4년(1404) 11월 16일에 大淸觀 북쪽에서 會盟한 기록으로 會盟文과 會盟에 참여한 功臣의 名單으로 구성되어 있다.
    (2) 「三功臣會盟錄」의 會盟文은 삼공신들이 함께 모여 丹心을 맹서한 盟誓文으로 「太宗實錄」에 수록된 會盟文과는 字句에서 다소의 差異를 나타내고 있으나, 「三功臣會盟錄」에 수록된 會盟文이 「太宗實錄」에 수록된 회맹문에 비하여 훨씬 자세한 편이다.
    (3) 三功臣에 녹훈된 공신은 99인이나 會盟祭에 참여한 공신은 66인이다. 그 중 手決한 공신은 41인이고 署名하지 않은 공신은 25인이며, 33인의 공신이 不參한 事由는 이미 卒去하였거나 流配 중이었던 때문이다.
    (4) 會盟祭에 참여한 66인 공신의 姓名과 君號 등이 「朝鮮王朝實錄」의 기록과 字句에 差異가 있는 것은 通名과 初名을 사용하였거나 혹은 誤謬로 인한 것인 듯하다.
    (5) 「三功臣會盟錄」에 수록된 會盟文은 「太宗實錄」에 수록된 會盟文의 내용보다 훨씬 자세하고 會盟功臣의 名單도 비교적 정확한 편이며, 현재로서는 唯一한 版本의 資料인 만큼 地方文化財로 指定하여 硏究하고 保存할 만한 價値가 있는 것으로 評價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Samgongsin-hoemaengrok(「三功臣會盟錄」) of Gaegukgongsin, Jeongsagongsin and Jwamyeonggongsin in early Joseon Dynas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1) Samgongsin-hoemaengrok is a record that major meritorious retainers of early Joseon Dynasty banded together to swear allegiance to their king and the nation at the north of Daecheonggwan on November 16th, 1404(Taejong 4). It contains the entire text of covenant and the lists of meritorious retainers who attended the event of covenant.
    (2) Hoemaengmun(會盟文) of Samgongsin-hoemaengrok is a text of covenant that major meritorious retainers did fealty to the king and the nation, and it has some differences in words and phrases compared with Hoemaengmun of The Annual of King Taejong(「太宗實錄」). That is, the former is more detailed than the latter.
    (3) Only 66 meritorious retainers attended Hoemaengje(會盟祭), the event of covenant, in total 99 of them. Out of 66 meritorious retainers who participated in Hoemaengje, 41 left their signature of attendance and other 25 did not. The other 33 meritorious retainers did not attend Hoemaengje because they already died or lived in exile.
    (4)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records of meritorious retainer’s name who attended the Hoemaengje between Samgongsin-hoemaengrok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wo materials selected and used various names which differ in words and phrases but refer to same person such as common names, childhood names etc. Otherwise, there might be errors in writing.
    (5) Hoemaengmun of Samgongsin-hoemaengrok is more detailed than The Annual of King Taejong’s, and the lists of meritorious retainers’ names are also generally accurate. Considering Samgongsin-hoemaengrok is the only material of Hoemaengrok in the reign of King Taejong, it deserves to be designated and preserved as a local cultural ass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