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니시노미야시의 지역기반 장애인복지 실천 사례연구 : 장애인의 일상적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A Case Study of Community Based Welfare Syste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Nishinomiya City, Jap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일본 니시노미야시의 지역기반 장애인복지 실천 사례연구 : 장애인의 일상적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40권 / 40호 / 209 ~ 236페이지
    · 저자명 : 전지혜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일상적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우선 이론적 측면에서 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구성요소를 검토하고, 일본의 중증장애인 통합적 공생사회 구축 사례를 통해 장애인의 일상적 삶이 가능하게 되는 지원체계의 요소를 알아보았으며, 한국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적 삶은 ‘자기결정권 하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지역사회에서 주체적으로 관계를 맺고 시민으로서 권리를 보장받으면서 하고 싶은 활동을 하고 살아가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 특히 제도적 측면에서의 사회권 보장과 심리사회적 측면에서의 관계성 구축을 통한 삶의 일상성이 보장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정상화, 자립생활, 사회적 포함 등의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결과, 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구성요소는 삶의 공간, 삶의 관계, 삶의 방식, 삶을 위한 지원과 조력의 4가지 요소로 확인되었다. 여기에서 삶의 공간은 지역사회이어야 하며, 삶의 방식은 자기결정권 보장을 통해 결정되어야 하고, 삶의 관계는 이웃이나 가족 친구와 같은 사회적 관계망 구축을 통해 마련되고, 삶을 위한 지원과 조력은 소득보장 및 사회서비스 지원 등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종합적인 장애인의 지역 내 일상적 삶을 지원하는 사례로서 일본의 니시노미야시를 사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니시노미야시는 공생마을 만들기를 위한 거점공간인 아오바원을 중심으로 장애인이 지역에서 완전한 주체로서 일상적 삶을 영위하도록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다. 중증장애인도 지역의 거점공간에서 의미있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애 친화적인 체계는 본인중심계획과 지역의 네트워크를 통해 구축되었다. 개호지원, 권리옹호지원, 이동지원, 지역사회지원 등이 지역의 다양한 활동과 자립생활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다차원적인 장애인의 일상을 창조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례를 통해서 한국 장애인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를 논의하였고, 장애인의 일상적 삶을 지역에서 어떻게 지원해 나갈 것인지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서술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How is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ossible?" First of all, I examined the elements of everyda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elements of the support system that enables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case of Japan 's integrated society for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Korea.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conceptualized as receiving the necessary support under their self-determinatio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in the community, and enjoying their rights as a citiz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oretical discussions such as normalization, independent living, and social inclusion, the components of everyda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as the four elements of life space, life relation, way of life, welfare support system for life. Here, the space of life must be a community, the way of life must be determined through self-deter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life is establish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ocial networks such as neighbors and family friends. The welfare support system for life is income support and job opportunity. I looked at Nishinomiya City in Japan as a case to support the daily life in this comprehensive disability area. Nishinomiya City was equipped with a support system to enabl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ive their everyday life as a citizen in the community through Aobaen, a base for co-operative town development. The severely disabled also had a meaningful social role in the base area of the area, and this disability-friendly system was built through self-centered planning and local network. As a result of various activities and independent living in the area, such as nursing care support, rights advocacy support, mobility support, and community support, a process of creating a multidimensional daily life of a person with disabilities was being prepared. At the end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described how follow - up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support the daily lif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