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학’이란 무엇인가? - 학문적 지향, 구성 체계, 연구 방법 - (What is ‘Laborology’? : Academic Oriented, System, and Method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1.06
42P 미리보기
‘노동학’이란 무엇인가? - 학문적 지향, 구성 체계, 연구 방법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노동연구 / 42권 / 5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종선, 조대엽

    초록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노동문제는 중층적이고 복합적이다. 디지털 전환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노동의 종말이라는 어두운 전망과 함께 점차 소수의 양질 일자리와 다수의 불안정하고 질 낮은 일자리를 양산하고 있다. 이 시론에서는 디지털 전환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동의 위기, 사회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 등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노동문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학문 패러다임으로서 ‘노동학(laborology)’을 설정한다. 노동학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노동 이슈에 관한 총체적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노동학은 경제학, 정치학, 사회학, 법학, 경영학, 심리학 등 한 특정 분야에 대한 이론 및 방법론적 연구를 넘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자연과학과 공학 연구까지 포괄함으로써 디지털 전환과 노동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문제해결을 지향하는 학제적 융합학문의 성격을 갖는다. 노동학은 노동 현장과 현실 사회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해결 방안을 삶의 현장에서 찾는 실천 지향의 현장학인 동시에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가치지향적인 인간학의 위상을 갖는다. 또한 노동학은 개인적 이해관계를 초월한 보편적 사회 가치와 책임을 지향하는 공공성에 기초함으로써 학계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까지 포함하는 현실 노동세계를 위한 ‘성찰적’ 학문으로서 공공학의 성격을 띤다. 한국사회의 노동 현실 속에서 노동학은 양적 또는 질적 방법론을 동시에 고려할 뿐만 아니라 역사적 비교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더 나은 노동 사회와 좋은 일자리, 더 좋은 민주주의, 인간의 본질적 활동으로서 노동 가치와 인간의 존엄성이 존중받는 보다 나은 인간사회 건설을 지향하는 미래학이다.

    영어초록

    The labor problems facing modern society are multi-layered and complex.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produce a small number of decent jobs and many unstable and low-quality jobs with the dark prospect of the end of labor. This study suggests ‘laborology’ as a new academic paradigm to seek solutions to the current labor problems facing our society, such as labor crisis, social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Laborology can be said to be a totalistic and comprehensive study on labor issues appearing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Laborology goes beyon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studies in one specific field such as economics, political science, sociology, law,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sychology and encompasses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ternet of Things (IoT), and robots. It has the character of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y in which it is problem-oriented, seeking to solve problems resulting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labor changes. Laborology is a public policy study and a practice-oriented field study that finds ways to solve various workplace and real social problems and improve society. It also has a characteristic of a value-oriented human study. Laborology is a public study as a ‘reflective’ knowledge for the real world of work, including academia and the general public. It is based on publicness that aims for universal social values ​​and responsibilities that transcend individual interests. Laborology analyzes the labor reality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historical comparison and quantitative or qualitative methodologies. Finally, it is a kind of futurology that aims for a better working society, good jobs, better democracy, and the construction of a better human society in which the value of labor as an essential human activity and human dignity is resp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