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의원 선거의 쟁점과 입법과제 (Issues and Legislative Tasks for Election of Education Members a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2022)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10
25P 미리보기
2022년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의원 선거의 쟁점과 입법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행정학연구 / 40권 / 4호 / 1 ~ 25페이지
    · 저자명 : 고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최초의 교육의원 선거에서 이제는 최후 선거로 일몰제 적용이 예정된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하여 그 입법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구성은 문제 상황, 논의의 틀과 교육의원 선거제도 개관, 역대 교육의원 선거 결과 분석, 교육의원 선거에 대한 평가, 결론으로서 입법 과제 등 다섯 개의 장으로 되어 있다.
    논의의 틀은 교육의원 관련 법제가 갖는 쟁점을 규범적·제도적 타당성과 사실적 실효성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규범적 타당성 측면은 교육의원 선거와 관련해서 제기되었던 헌법재판의 논거를 법적으로 분석했고, 제도적 타당성은 지방교육자치의 원리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적 관점에서 논의했으며, 사실적 실효성은 역대 교육의원 선거 결과의 흐름과 특징 분석을 통해서 선거 규범과 선거 결과 및 실제 간의 간극을 교육법학적 관점에서 설명했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의 교육의원 제도는 헌법에 기초한 교육자치제도의 중핵으로서 존재의의를 가지며, 제주특별법상의 교육자치를 실현할 고도의 교육분권의 상징이다. 특히, 의결기관인 교육위원회 구성시 교육의 전문성과 주민대표성 간의 균형추와도 같은 역할을 한다.
    헌법재판을 통해 교육의원 제도 및 자격 제한의 목적의 헌법적 정당성은 인정되었고, 입법부의 형성권에 의거하여 과잉되거나 본질적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육의원 선거방법의 문제점을 이유로 민주적 논의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몰입법 강행은 제주특별자치법의 교육자치의 본질적 가치를 훼손하는 것으로서 재개정을 요한다.
    지방교육자치제도 원리 측면에서 교육의원 제도는 전문적 관리와 주민통제 및 일반인에 의한 통제 간의 균형을 이루는 제도이며, 수정 원리인 효율 및 균형의 원리에도 부합한다.
    사실적 실효성 측면에서 2006-2022 사이 실시된 교육의원 선거는, 60대 남성의 교육관료 출신이라는 편포와 무투표 당선이라는 한계를 드러냈고 이에 대한 대처 입법이 필요하다.
    입법 과제로 첫째, 일몰제에 대한 개정 입법 추진, 입후보 요건의 완화 및 초·중등 교원의 휴직 허용, 중선거구제 개편, 교육의원제 입법취지와 교육감 자치입법권 강화 등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of Election(2006-2022) for Education Members of Local Council(hereinafter referred to as ‘EE’) and to suggest related legislative tasks at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Problem situation, Framework of article and Overview of the EE, Analysis of the results of elections(2006-2022), Evaluation of the EE, and Conclusion (reason for existence and legislative task).
    The validity as a norm of the EE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validity as a system was analyz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 factual effectivenes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EE. The first is a Legal approach, the second is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third is Education law. The meaning of EE is to realize educational autonomy and educational decentralization guaranteed by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31④, §117-8) and the Jeju Special Act(§1).
    According to the case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t is reasonable discrimination to require more than fiv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for candidates of EE and it is a discretion of the legislature.
    The EE is a system that balance both the principles of professional management and resident control. The problem with the EE is that there are mainly older male education officials, and the incumbent Education Members has an absolute advantage in election.
    As a conclusion, legislative tasks such as the abolition of the Sunset-system, relax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candidacy, allowing teachers to take a leave of absence, introduction of a middle-election-district system, and strengthening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Superintendent wer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행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