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수교 30년, 문화교류의 현황과 과제 (30 Years of Establishment of Korea-China Relations, Current Status and Tasks of Cultural Exchange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2.06
25P 미리보기
한중수교 30년, 문화교류의 현황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중국연구 / 24권 / 1호 / 325 ~ 349페이지
    · 저자명 : 임대근

    초록

    한중수교 이후 양국 문화교류의 흐름은 대체로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1992~2002)는 상호 탐색기로서 공식 관계 복원 이후 양국 정부의 주도로 문화교류의 기반을 마련했다. 제2기(2002~2016)는 교류 성숙기로서 문화외교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작동했고, 상호 문화교류의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한류와 한풍(漢風)이 상호 삼투하는 경향을형성하면서 문화교역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그러나 여러 문화갈등이 간헐적으로 지속되는 상황도 전개되었다. 제3기(2016~현재)는 교류 냉각기로서 양국 관계가 전면적인 갈등 국면을 맞이하면서 문화교류 또한 냉각기로 접어들었고, 문화갈등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양국 문화갈등의 쟁점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문화갈등 국면을 타개할 수 있는 대안을 제도, 이념, 관습, 정서의 층위에서 다각적으로 논의하고 실천을 모색해야 한다. (2) 문화교류의 장애물이 되고 있는 이념의문제를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3) 문화교류를 회복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양국의 상호 반감 정서를 극복해야 한다. 양국 문화교역의 쟁점과 과제는다음과 같다. (1) 양국 문화콘텐츠 교역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이는 시장에서 상호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2) 양국 문화콘텐츠 교역은 불균형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균형 잡힌 문화교역을 모색해야 한다. (3) 중국에서는 왜곡된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와 수용 양상이 형성되고 있다. 이에 대한 제도적, 국제적 공조가필요하다. (4) 양국 문화콘텐츠 교역은 최근 문화갈등 상황에도 불구하고확장되고 있다. 이는 한한령이 중국 내 한국 문화콘텐츠의 수요를 사실상통제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에도 문화콘텐츠 교역은 양국문화교류를 지탱하는 동력으로 작동할 것이므로 이를 문화교류의 동력으로 잘 활용해야 한다.
    양국 문화교류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 전략은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위상에 걸맞게 장기적으로는 고도화를 전제로 하여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이데올로기 문제를 잘 관리해야 한다. (2) 한국 내부에 상존하는 중국문화에 대한 수요를 발굴할 필요가 있다. (3) 한국과 중국 사이에 문화갈등이빈발하고 있는 상황을 인정할 때, 중국을 초점화하여 목표로 삼기(targeting)보다는 포괄적인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4) 양국 문화교류를거시적인 층위에서만 추진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과 계층을 분화하여미시적인 층위에서 추진할 필요도 있다. (5) 문화콘텐츠의 유통은 이제 세계적 흐름 위에 서 있음을 직시하여, 장기적으로는 양국 OTT 산업의 상호 플랫폼화, 단기적으로는 양국 문화콘텐츠의 플랫폼 진입의 다양화를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6) 전문가 및 지식인 교류와 네트워크 구축이지속되어야 한다. (7)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온라인 교류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8) 코로나19가 종식되고 일상적 단계 회복이 시작되면 잠재돼 있던 관광에 대한 소비 욕구가폭발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를 대비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flow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one(1992~2002) was a mutual search period,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cultural exchanges led by the two governments. The second one(2002-2016) was a mature period in which cultural diplomacy worked stably and continuously, and efforts were made to expand mutual cultural exchanges. In particular, as the Korean Wave and the Chinese wind formed a tendency for mutual osmosis, cultural trade was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there were also situations in which various cultural conflicts continued intermittently. The third one(2016-present) is a period of cooling, and cultural exchanges have also entered a period of cooling as bilateral relations face a phase of full-scale conflict.
    The issues and tasks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as follows. (1) Alternative solutions for resolving cultural conflicts should be discussed and practiced at the level of system, ideology, custom, and sentiment from various angles. (2)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problem of ideology, which is an obstacle to cultural exchange. (3) In order to restore and revitalize cultural exchanges, mutual antipathy between the two countries must be overcome. The issues and tasks of cultural trade are as follows. (1) The trade volume of cultural contents has continuously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re is still a demand for intercultural contents in the market. (2) Trade in cultural contents is unbalanc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 balanced cultural trade. (3) Distorted patterns of consump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re forming in China. In this regard, institution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ecessary. (4) Trade in cultural contents is expanding despite the recent cultural conflict.
    This means that was not effectively controled the demand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in China. Therefore, cultural contents trade will continue to function as a driving force for supporting cultural exchange, so it should be well utilized as a driving force for cultural exchange.
    Suggestions for successfully carrying out the task of cultural exchange are as follows. (1) The cultural exchange strategy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promoted on the premise of advancement in the long term, in line with the status of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For this, the ideological problem must be well managed. (2)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demand for Chinese culture that exists in Korea. (3) When acknowledging the frequent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 comprehensive strategy should be sought rather than focusing on China. (4)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not only at the macro level, but also at the micro level by dividing various areas and classes.
    (5) Facing the fact that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is now standing on the global trend,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have the OTT industries of both countries a mutual platform in the long term, and to diversify the entry into the platform of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hort term. (6) The exchange of experts and intellect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networks should be continued.
    (7) It is necessary to expand various online exchange programs to overcome the recent COVID-19 pandemic. (8) When the COVID-19 is over and the recovery of the normal stage begins, the latent consumption desire for tourism is expected to explode, so we need to prepare for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중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