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물관 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Preliminary Study of Museum Education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Published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from 2014-2019)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20.04
29P 미리보기
박물관 교육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문화정책논총 / 34권 / 1호 / 129 ~ 157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최고운

    초록

    본고는 박물관 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논문들의 최근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9년 9월까지 학술지 및 대학원에서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검색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총 316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이 논문들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동향을 살펴보았는데, 연구주제는 222편의 교육프로그램 관련 논문과 94편의 박물관 교육 기능 및 역할에 관한 논문으로 나누어졌다. 교육프로그램 관련 논문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본고에서는 이 유형의 논문을 중심으로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교육프로그램 관련 논문은 다시 54편의 교육프로그램 기획논문, 111편의 교육프로그램 운영논문, 57편의 교육프로그램 사례논문으로 나누어졌으며, 222편의 논문 중 171편이 대학교에서 발표된 학위논문이었다. 기획논문은 16편으로 경인교대에서, 운영논문은 30편으로 경희대에서, 사례논문은 9편으로 중앙대에서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142편의 논문이 수도권 지역의 대학교에서 나왔다. 분석된 논문들의 연구방법으로는 기획과 사례논문에서는 비경험연구를, 운영논문에서는 경험연구 중 혼합연구방법을 많이 채택하였고, 모든 논문들의 주된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들이 가장 많았다. 교과목을 연계한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과목의 개체 수는 다양하였지만, 초등교과와 중 · 고등교과 모두 역사(사회) 과목에 편중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지는 국립박물관이 중복 데이터를 포함하여 가장 높은 빈도수로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박물관을 지역별로 살펴 본 결과, 연구대상지들의 박물관도 대부분 수도권역에 소재하고 있었다. 본 집계를 통하여 박물관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연구를 지속하여 한국 박물관 교육의 흐름을 시기별로 짚어보고, 그 발전 방안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박물관 교육에 주로 활용된 교육 및 학습이론을 좀 더 자세히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에서 제대로 살펴보지 못한 박물관 기능 및 역할과 관련된 연구논문들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여, 박물관 교육의 제 기능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work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museum education researches in Korea from 2014 to 2019. Accordingly, this involved the collection of target researches published in universities and academic journals, a task that was accomplish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A total 316 researches (90 academic papers and 226 theses) will be thoroughly scrutinized and assorted into several different research types.
    In particular, 222 papers out of the 316 focused on museum educational programs while 99 of them targeted the research role and function of museum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mainly highlight those 222 papers concerning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mong them, three main subjects were discovere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e organization of programs, and the analysis of programs. Upon reviewing these subjects, five different distinc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s the primary university to publish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Second, in terms of organizing the programs, Kyung Hee University is the top university; this institution is also renowned for researching other sectors. Third, Chung-Ang University is the main institution behind the publishing of analyses of museum programs. Fourth, the main methodologies are derived by developing and analyzing programs that are case studies, wherea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are chosen through the organization of the papers. Finally, the targets of the papers are usually pupils (mainly primary schools) and students in the secondary grade. The papers meant for the students seem to integrate history and arts curriculum into the museum education, and this designated target and curriculum should be refined in the future. Notably, the papers are mainly selected by national and public museums for their research where are located in the capital a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