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버(Buber)의 “나-너의 대화적 관계론”에 비추어 본 몬테소리(Montessori)의 “교육적 인간관계”이론에 관한 고찰 (Eine Studie ueber die Theorie des erzieherischen Verhaeltnisses Maria Montessoris im Hinblick auf Martin Bubers "Ich-Du-Verhaeltni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7.04
20P 미리보기
부버(Buber)의 “나-너의 대화적 관계론”에 비추어 본 몬테소리(Montessori)의 “교육적 인간관계”이론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2권 / 1호 / 77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철

    초록

    인간은 홀로 지낼 수 없다. 인간은 늘 그 어떤 상대와 마주하여 존재한다. 인간과 인간의 만남 속에서 교육적인 것이 작용할 때 그것을 우리는 “교육적 인간관계”라고 지칭한다. 교육학에서 “교육적 인간관계”이론은 상당히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것의 오래된 역사만큼이나 교육의 현상 속에서 인간이 모든 가능한 필연적인 특징으로써 파악되기 위해 “인간존재의 본질은 어떻게 이해되어야만 하는가?” 에 대한 물음은 교육학에서 오래된 과제이다. 더 나아가 이 물음은 21세기의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 이렇듯 교육적 상황에서의 교육적 인간관계는 서로 다른 두 인간의 만남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탐구는 필수 불가결한 과제이다.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위해 본 연구는 우선 부버(Buber)의 “만남의 철학” 속에서 나타난 인간존재의 가능한 본질적 특성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인간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도출되는 인간존재의 본질적 요소와 관계의 원리들을 토대로 몬테소리(Montessori) 의 교육사상에서 나타나는 “교육적 인간관계”에 적용하였을 때의 그 가능성과 한계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영어초록

    Der Mensch kann nicht allein leben. Er kann nur existieren, wenn er den anderen bzw. dem Etwas gegenuebersteht. Unter Erziehung werden Handlungen verstanden, durch die Menschen versuchen, das Gefuege der psychischen Dispositionen anderer Menschen in Hinsicht dauerhaft zu verbessern oder zu verhueten. In den Begriffserklaerung der Erziehung taucht also ein gemeinsames Grundphaenomen auf, naemlich das der menschlichen Beziehungen zwischen Kindern und Erwachsenen, Erziehern und Zoeglingen, Lehrern und Schuelern usw. . Dieses Phaenomen der zwischenmenschlichenaspekte im Erziehungsvorgang kann als “das erzieherische Verhaeltnis” bezeichnet werden, dessen Theorie als das “Ich-Du-Verhaeltnis” in der personalen Begegnung auf der anthropologischen Bestimmtheit des Menschen in der Erziehung gruendet.
    Die angesprochene Beziehungsaspekte in Erziehung haben in der Geschichte der abendlaendischen Paedagogik eine lange Tradition.
    Entsprend solcher langen Geschichte hat Erziehung auch seit lang eine wesentliche Fragestellung auf das Wesen des Menschen, naemlich wie soll in der Erziehungswirklichkeit unter dem Wesen des Menschen verstanden werden. Und diese Frage auf den Menschen in der Geschichte fuehrt zur Orientierungshilfe in Gesellschaft und Erziehungsphaenomen in unserem Jahrhundert, in dem es sich um Information und Globalisierung handelt.
    In diesem Sinne waere es sinnvoll, das Wesen des Menschen im Erziehungsphaenomen zu untersuchen. Mit diesen Intentionen hat diese vorliegende Arbeit ein Vorhaben, das erzieherische Verhaeltnis im Hinblick auf das Verhaeltnis “Ich und Du”, das Martin Buber in seinem Werk als “das dialogische Verhaeltnis” gennant hat, zu erforschen. Mit dem daraus folgerten Ergebnis soll es auch versucht werden, die Theorie des “erzieherischen Verhaeltnisses” Maria Montessoris zu ueberpruefen.
    Schliesslich soll diese Arbeit dazu beitragen, ueber die Werte des Menschseins in heutigen Gesellschaft und Erziehungsphaenomen neu zu reflektie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