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임죄의 손해 산정 - 공소사실의 특정 관점에서 - (Calculation of the loss in the breach of trust - In specific terms of the statement of fact charged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11
33P 미리보기
배임죄의 손해 산정 - 공소사실의 특정 관점에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24권 / 3호 / 71 ~ 103페이지
    · 저자명 : 이승준

    초록

    형법은 명문의 구성요건으로 배임죄의 손해를 규정하고 있으며, 그 결과 배임죄의 손해는 실체법인 형법에 있어서는 기술된 구성요건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나, 절차법인 형사소송법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특정을 필요로 하는 공소사실에 해당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실무나 학계에서 배임죄 손해액 산정시 간과하여 온 것이 경제적ㆍ재무적 분석이며, 그 결과 공소사실의 특정에서도 피고인에 대한 공소사실의 보장기능을 소홀히 해왔다. 그리고 그 이유는 배임죄를 위험범으로 보면서 ‘재산상의 손해’에 손해발생의 위험마저 포함시켜 왔기 때문이다. 사기죄의 경우 재산상의 손해가 명문의 구성요건이 아니므로 재산상 손해를 완화해서 해석할 수도 있으나, 배임죄의 경우에는 구성요건 해석상 엄격하게 해석되어야 함에도 사기죄처럼 재산상 손해발생의 위험마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온 것이다. 그러나 배임죄의 손해는 구성요건요소이며, 특정경제범죄법상 가중처벌을 위한 이득액과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입증책임은 어렵지만 검사가 부담하여야 하며 불특정으로 인한 불이익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그때 손해산정의 기준은 배임행위가 되는 거래행위의 유형에 따라 각각 경제적 관점에서 실제 재산가치의 감소액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재산상 손해발생의 위험과 재산상 손해는 문언의 한계상 구별되는 것이며, 재산상 손해발생의 위험을 재산상 손해로 이해하는 것은 미수범 체계를 혼동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법원도 공소사실의 특정 단계부터 배임행위의 거래유형과 목적물 등 제반상황에 따라 경제적 관점에서 실제 재산가치의 감소액을 기준으로, 재산상의 손해와 이득액에 대한 명확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피고인에게 불의타를 방지하고 책임에 비례하는 형벌이 부과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어초록

    Criminal Law stipulates breach of trust the loss element of crime prescribed, as a result of damage breach of trus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Criminal Code. And fact charged that the statute that requires certain specific even i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But now it overlooked when it came to calculating loss in practice or academia breach of trust to the economic and financial analysis. As a result in particular of the fact charged appeals have been neglected guarantee function for the defendants. And that's why watching a breach of trust Gefährdungsdelikt, because even came to include the risk of loss caused to property damage. In the case of fraud in property loss it may be interpreted to mitigate property loss because it is not a requirement of the prescribed element of crime. But if there breach of trust Despite element of crime must be interpreted strictly interpretation, would come to be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risk of fraud so far even property loss occurs. But the loss is the element of crime, and so profit and also connected for certain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Economic Crimes law. That burden is severe and difficult, and the prosecutor should also bear the same disadvantages caused by non-specific. And that the reference is to be determined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type of transaction activity based on a breach of trust acts as a decline in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And the risk of property loss is distinguished from property loss occurred in the limits of the wording. Understanding the risk of property loss property damage, caused by the confusion is because the attempt system.
    Now, the court should provide a clear direction for damages to property and profit from a stage of the statement of fact charged, also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type of transaction and the object of misappropriation acts on the basis of a decline in real estate values. By doing so it should be avoided so that the unexpected attack of the defendant and impose a punishment that is proportional to the ris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