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적연금 주요주주와 기업가치의 변화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nd the Firm Valu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6.08
40P 미리보기
공적연금 주요주주와 기업가치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25권 / 4호 / 429 ~ 468페이지
    · 저자명 : 정용기, 김선화

    초록

    최근 공적연금 등의 기관투자자 역할이 증대되면서 경영자와 투자자 사이의 대리위험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게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일각에서는 공적연금이 정부의 영향력 행사의 통로로 이용됨으로써 오히려 대리위험을 증폭시킬 우려가 있다는 상반된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자본시장에서의 공적연금에 대한 향후 정책방향 설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시사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영향 및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적연금이 주요주주로 참여하고 있는 경우 기업가치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공적연금의 대리위험 통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종속변수는 단기관점에서 기업가치 변화[12개월간의 누적초과수익률(CARt1), 1년간 보유기간초과수익률(BHARt1), 당기의 토빈-Q비율(Tobint)]를, 장기관점에서 기업가치 변화[24개월간의 누적초과수익률(CARt2), 2년간 보유기간초과수익률(BHARt2), 차기의 토빈-Q비율(Tobint+1)]를 사용한다.
    분석결과, 첫째, 공적연금 주요주주의 존재여부가 기업가치와 양(+)의 관련성을 보임으로써 투자자들이 공적연금의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율적 감시가설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강건성 확보를 위한 추가분석에서, 공적연금이 향후 양(+)의 수익률을 실현하기 위하여 저평가 가치주에 투자한 경우에도 공적연금 주요주주의 존재여부가 당기 및 차기의 기업가치와 양(+)의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익상향조정기업에 대한 추가분석에서 공적연금 주요주주의 존재여부가 당기의 기업가치와 관련성을 갖지 못함으로써 이익상향조정기업에 투자하여 대리위험을 증폭시킬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주요주주 소유지분율 크기 자체는 기업가치에 어떤 의미 있는 영향력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지는 않았다. 셋째, 공적연금이 주요주주로서 대리위험을 효과적으로 통제함에 따라 투자기업의 수익성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분석결과를 종합하자면, 소유지분율 차이에 따른 기업가치 증대효과는 발견되지 않고 있어 다소 제한적이긴 하지만, 투자자들은 공적연금 주요주주의 역할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위 ‘연금사회주의’의 대두라는 우려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공적연금의 투자기업에서의 역할에 따른 기업가치변화를 실증함에 따라, 공적연금의 산업자본소유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설정이나 기업지배구조의 개선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As the increasing tendency of public pension funds in capital market, general expectations are raised to increase the control function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in agency risk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However, now questions are being asked regarding the effects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on the investee company’s value, and it is because the operation of public pension fund has controled from governance institutions, unlike institutional investors such as financial institutions. But there is little reference on this perspective. In this viewpoint, we investigate whether the shareholder activism by public pension blockholders improves the investee company’s value. We expect that public pension blockholders impact managers’ management decision to reduce the agency risk, and improve the firm value.
    The sample for this study is obtained from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KRX) from 2006 to 2013. We employ the total sample using 3.892 firm-year observations from the KIS-VALUE database. The data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re collected from the TS-2000 database provided from the Korea Listed Companies Association (KLCA). We employ diverse abnormal return measures [cumulative abnormal return (12 months), buy-and-hold abnormal return (1 year), cumulative abnormal return (24 months), buy-and-hold abnormal return (2 years)] and Tobin-Q ratio (the ratio of Tobin’s Q in years t and t+1) as a firm value. We focus on the role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holding at least a 5% equity in individual firm. In particular, public pension blockholders holding at least a 5% equity tend to play an important control role in managers’ management decision with shareholder rights awarded with their hold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llowing as to whether: 1) the existences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ffect the investee company’s value; 2) the holding levels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ffect the investee company’s value; 3) the existences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ffect the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As a result, first, we find that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 value. Second, the holding levels of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re not associated with firm value. From this results, we tentatively conclude that investors tend to positively estimate the public pension blockholders’ effective control powers on business activities. In the additional test, we find that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re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s profitability.
    This study might be the first trial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pension blockholders and the firm value. There are implications for decision-making in the plan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shareholder monitoring and corporate gover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