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공(公)’의 용례와 성격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Gong)’ in the Goryeo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2
28P 미리보기
고려시대 ‘공(公)’의 용례와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26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김병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 ‘공(公)’의 용례와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공’ 개념은 일차적으로 정치적 지배자나 지배권력, 그리고 지배기구나 지배영역을 가리켰다. 이후 ‘공’은 지배체제에서 벗어나 있는 영역을 가리키는 ‘사(私)’와 대응 관계를 이루면서 ‘공사’ 개념 짝이 만들어졌다. 고려는 중국의 ‘공’ 개념을 수용하였는데, 종실과 고위관직자에 대한 예우적인 표현으로서 작호와 삼공을 지칭했다. 이와 함께 관리가 입는 옷은 공복, 그들이 사용하는 문서는 공문서 혹은 공첩, 그들의 업무는 공무, 그들의 업무 공간은 공해로 불렸다. 이외 관리가 반드시 따라야 할 도리를 공도, 이를 지키는 마음을 공심이라 말하기도 했다. ‘공’은 ‘사’와 대비되는 짝개념으로서 ‘공사’ 합칭어로 언급되거나, ‘공’과 ‘사’가 개별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공’ 개념은 공적인 의견이나 여론에 대비되는 사적인 감정과 구분하는 기준점이 되기도 하였다. 이는 고대 중국으로부터 유래된 공의 세 가지 층위 즉 ‘지배영역으로서의 공’, ‘보편적 윤리원칙으로서의 공’, ‘더불어 함께라는 의미로서의 공’이 중층적으로 사용된 데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공의(公義)와 사정(私情), 공의(公義)와 사은(私恩)이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공(公)=의(義), 사(私)=정(情)/은(恩)으로 구별한 것이다. 그리고 개인에 대비되는 의미에서 조정을 뜻하는 개념으로 공가(公家)라는 표현도 사용하였다. 즉, ‘공가의 이익[公家之利]’과 ‘자신의 이익[自利]’을 대비하였다. 이로써 ‘공가(公家)’와 ‘자신(自身)’이 대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공적(功績)’이 없는 경우에 ‘사사롭다’고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국가나 왕조의 통치 안에 있는 것을 ‘공’이라고 상정한 만큼, ‘사’는 개인의 것으로 파악한 데에 연유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Gong)’ in the Goryeo Dynasty. The concept of ‘public’ originated in China primarily indicated a political ruler or ruling power, and a governing body or scope. And later, as the political organization and system were gradually reorganized, the concept of ‘public’ as governing power or body came to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private' which indicates a scope free from such domination, resulting in the concept as a pair of ‘public and private’. In Goryeo society, following the Chinese concept of ‘public(Gong)’, they indicated the royal family and high-ranking officials as Jakho and Samgong as a courteous expression, and called the clothes worn by officials as public uniform. They called the document used by officials as public document or book, and the work as public work, and the workplace as public space. Further from this, the duty that officials must follow was called public ethic(Gongdo), and the mind to keep that was called public mind(Gongsim). The ‘public’ as contrast to ‘private’ was used jn the term ‘public and private’ as a pair concept, and in some cases, ‘public’ and ‘private’ were applied separately.
    This concept of ‘public’ also served as a reference point to distinguish from private feelings in contrast to public opin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influence into Goryeo society as well as the complex use of the three layers of public(Gong) from ancient China; that is, public as a governing scope, public as a universal ethical principle, and public as a meaning of being together. Specifically, public justice and private feelings, and public justice and private gratitude were used as contrasting concepts.
    They were distinguished as public = justice, private = feelings/gratitude. Public justice was perceived as a concept in contrast to private feelings or gratitude. In addition, the term of the public organization (Gongga) was used as a concept contrasting to the individual. ‘Public interests’ and ‘private interests’ were also in contrast.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terms of ‘public’ and ‘private’ were in contrast each other. In addition, what is not public was expressed as what is ‘private’. This perception stems from the understanding that ‘private’ is an individual as much as ‘public’ is is assumed to be within the rule of a nation or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