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귀(李貴)의 제도개혁론과 사공(事功)의 문제 (Yi-GWi(李貴)’s System Reform and the Issue about Sa-gong(事功, Util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11
25P 미리보기
이귀(李貴)의 제도개혁론과 사공(事功)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20권 / 2호 / 97 ~ 121페이지
    · 저자명 : 박홍규, 박설수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인조 초기 제도개혁론자인 이귀(李貴: 1557~1633)의 제도개혁론을 다룬다. 반정 이후 인조정권은 산적한 과제들을 안고 있었다. 임진왜란과 광해군의 난정 이후 세수확보, 인구파악, 군적충원 등 조선의 기본적인 행정시스템이 붕괴상태에 이르렀고 설상가상으로 청과의 전쟁위기는 날로 심해져 재정압박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귀는 이러한 위기상황에서는 비상한 방법 즉 기존의 법질서나 관행에 구애받지 않는 과감한 제도개혁을 통해 나라를 되살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이귀의 제도개혁안은 주자(朱熹: 1130~1200)와 대척점에 있었던 사공파 진량(陳亮: 1143~1194)과 문제의식과 해법 차원에서 유사한 것이었다.
    하지만 조선은 사공파가 아니라 주자의 정치사상을 계승한 나라였으므로 이귀는 사공파의 논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는 없었다. 만약 조선의 정치가가 주자를 버리고 사공파의 후예로서 자처하였다면 그는 거의 정치적 파산 상태에 이르게 될 것이었다. 따라서 비록 송대 사공파와 유사한 문제의식과 해법을 지니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는 다시 주자학의 명분을 통해 자신의 제도개혁론을 정당화하여 조선사회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의로 만들어야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자신의 제도개혁론이 사(私)나 리(利)를 추구하는 마음에서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의(義)와 공(公)을 추구하는 중에 나오게 된 것임을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vers the political thought of Yi-Gwi(李貴: 1557~1633), one of key figures of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and one of administration system reformers in 17th century Jo-seon dynasty. Soon after Restoration, In-jo regime confronted serious problems that were hard to solve. Basic administration system of Jo-seon dynasty such as collecting of taxes, conducting national census, recruiting troops was almost totally collapsed after going through with Japanese invasions of Korea(壬辰倭亂) and Gwanghaegun(光海君, In-jo’s predecessor)’s misgovernment. To top it off, Manchurian(後金), new rising power, were about to invade Jo-seon dynasty and it brought about almost unmanageable financial burden to In-jo regime. Yi-Gwi argued that in order to overcome recent crisis we should restore state by carrying out reforms in extra ordinar way which wasn’t restrained by existing method. Yi-Gwi’s reform plan was somewhat analogous to the situation awareness and solution of Chen-Liang(陳亮: 1143~1194) who advocated reform of administration system in Southern Song dynasty(南宋) and stood against Zhu-Xi(朱熹: 1130~1200)’s idea claiming cultivation of mind is more important than system reform. Despite of its similarity with Chen-Liang’s reform plan, Yi-Gwi couldn’t directly use Chen Liang’s main idea to support his reform plan because Jo-seon dynasty’s main political thought is not Chen-Liang’s thought but Zhu-Xi’s. If Yi-Gwi had directly used Chen-Liang’s idea, his words would have lost credibility in Jo-seon dynasty. Thus, Yi-Gwi had to justify his plan of system reform with Zhu-Xi’s thought in order to make his idea being accordant to his contemporary common sense. To do so, he contended that his plan of administration system reform was not the seeking of private interest but the pursuit of public d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