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Kozak 수간곡선모델을 이용한 우리나라 해안별 곰솔의 수간재적 추정 (The Estimation of Stem Volume for Pinus thunbergii by Coast using Kozak’s Stem Taper Model in Ko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Kozak 수간곡선모델을 이용한 우리나라 해안별 곰솔의 수간재적 추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29권 / 4호 / 225 ~ 244페이지
    · 저자명 : 손영모, 강진택, 전주현, 고치웅

    초록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곰솔 입목수간재적표는 1986년에 최초로 제작되어 현실 임분과의 과소․과대치가 발생하고 있고, 흉고직경 40cm 이상의 재적정보가 없어 산림경영 활동의 장애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별 생장특성을 반영한 최적의 입목수간재적표 도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해안을 따라 분포하고 있는 곰솔 임분에서 직경급별로 표준목을 고르게 선정하여 총 340본을 벌채한 후 수간고별 직경과 수고를 측정하였다. 재적추정을 위한 최적의 수간곡선식 도출을 위하여 Kozak 수간곡선 모델(1988년)에 의한 수간곡선식을 추정하였다. 적용된 수간곡선 모델에 대한 적합도 검정을 위하여 적합도지수(FI), 편의(Bias), 잔차에 대한 표준 표차(SEE), 평균절대편차(MAD) 통계량에 의한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수간곡선식에 의해 도출된 각 해안별 재적간의 비교와 현행 재적표와 신규재적표간 재적 비교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zak 수간곡선 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위하여 적합도지수 및 검정통계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모델이 곰솔의 수간곡선을 추정하는데 있어 적합한 식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Kozak 수간곡선 추정모델을 이용하여 각 개체목의 수간고별 직경을 추정하고 수간재적을 산출하였으며, 추정된 각 해안별 수간재적표의 재적 비교를 위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결과, 해안별 재적표간 재적비교에서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 순으로 재적이 크게 나타났으나 세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 재적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4137>0.05). 따라서 해안별 재적표를 각각 분리하여 적용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현행 재적표와 신규 재적표간의 재적 비교 결과, 현행 재적표의 재적 평균이 신규 재적표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6558>0.05). 따라서 현행 재적표를 계속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현형 재적표는 흉고직경 40cm, 수고 30m 범위내 재적만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현행 재적표 범위 이상의 곰솔 개체목에 대한 재적 산정을 위해서는 신규 재적표(흉고직경 80cm, 수고 35m 범위의 재적 제시)의 적용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신규 곰솔 입목수간재적표는 향후 산림경영계획, 산지전용허가, 탄소상쇄사업, 산림기본통계산출, 산림부문 국가온실가스통계 산정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stand tree volume table that is currently used was made in 1986 for the first time a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al stand and the previous one. As there is no information on volume(DBH higher than 40cm), it remains as an obstacle in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optimized stand tree volume table that reflects regional growth performances. Sample trees were selected by diameter from Pinus thunbergi that are distributed along the coastal area in Korea. 340 trees in total were lumbered and their diameter and height were estimated. For the best estimation of stem taper equation, it is conducted by Kozak’s stem taper model(1988). To examinate the fitness, Fitness Index(FI), Bias, Standard Error of Bias(SEE) and Mean Absolute Deviation(MAD) were evaluated. Both the outcomes of each of its volumes compared by coastal area and comparison of volumes between current stem volume table and new stem volume table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suitable probation of Kozak stem taper model, fitness index and other tests stat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sed.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an appropriate formula when estimating the stem curve of P. thuubergii. Secondly, we have estimated the diameter of stems individually by using Kozak’s stem taper estimation and stem volume as well. To compare the volumes of stem volume table in each coastal are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implemented. The volume in the eastern coast was the biggest followed by the west and southern coas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se three(p=0.4137>0.05).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adjust volume tables of coastal areas individually. Lastly, the average volume in the current volume table was slightly higher than in the new volume tab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p=0.6558>0.05). To conclude, it is permissible to use the current volume table continuously, but it only shows 40cm of DBH and 30m of tree height. To estimate the volume of P. thunbergii that ranges more than the current stem volume table, it is rather considered to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the new stem volume table(80cm of DBH and 35m of tree height). The new stand volume table of P. thunbergii estima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widely utilized for several forest projects such as future forest management plan, permission for forest land use conversion, carbon offset project, collecting basic forest statistics as well as estimation of forestry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so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