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곡(雪谷) 정포(鄭誧)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The Tang’s Poetical Style and AestheticCharacteristics Appeared in Jungpo’s Poet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5.06
32P 미리보기
설곡(雪谷) 정포(鄭誧) 시에 나타난 당시풍(唐詩風) 경향과 미적특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15권 / 103 ~ 134페이지
    · 저자명 : 하정승

    초록

    설곡(雪谷) 정포(鄭誧)는 고려후기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이다. 그의 아들은 원재(圓齋) 정추(鄭樞)이고, 손자는 복재(復齋) 정총(鄭摠)인데 3대가 모두 문명을 떨치며 문학사에 이름을 남기고 있다. 전대의 비평가들은 정포 시의 가장 큰 특징으로 청려(淸麗), 섬미(纖美), 청절(淸絶)함을 꼽고 있다. 청려・청절 등 청자계(淸字系) 시품(詩品)은 일반적으로 당시풍 한시에서 나타나는 주된 품격으로 알려져 있다. 섬미 역시 아름답고 세련된 시어의 구사와 시상의 전개에서 나오는 품격으로 당시와 관련이 깊다. 설곡시에 청자계 시품이 나타나는 것은 세속적인 물욕이나 명예와 거리를 두었던 그의 인생관과 관련이 있다. 또한 그의 선친대(先親代)부터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강직하고 꼿꼿한 선비정신도 그의 시세계 구축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의 시단은 초기에는 신라 하대를 계승하여 당시(唐詩)의 영향을 받다가 성리학이 전래된 중기 이후에는 당대(當代) 중국의 시풍을 받아들여 송시(宋詩)의 영향 하에 있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그러나 사실은 고려후기에도 당시풍과 송시풍이 함께 공존하였다. 고려후기 문단에서 당시풍 한시 창작을 대표하는 시인들로는 홍간(洪侃), 정포(鄭誧), 안축(安軸), 정몽주(鄭夢周), 김구용(金九容), 이숭인(李崇仁)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들의 시풍이 대체로 모두 청신(淸新)・청려(淸麗)・청섬(淸贍) 등의 시품인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로 보면 고려후기의 당시풍 한시 창작은 세속적 가치와 거리를 두는 청자계 시품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고려말이라는 정치적・사회적 혼란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고려후기 당시풍 한시 창작을 대표하는 시인이었던 정포를 통해 그의 시에 보이는 당풍적 요소가 무엇이며, 또 그같은 당풍적 시창작이 문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더불어 고려후기 한시사에서 당시풍 한시의 전개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정포의 당시풍 시쓰기, 특히 ‘청자계 시품’의 전통은 선배 홍간을 이어받고, 김구용과 이숭인으로 계승되었다가 멀리는 조선조 중엽 소위 삼당시인을 비롯한 당시풍 작가들의 시쓰기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Seolgok-Jungpo is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 Dynasty. His son is Wonjae-Jungchoo and his grandson is Bokjae-Jungchong. They all won literary fame and left their mark in literary history. The critics of a previous generation referred to the characteristic of Jungpo’s poetry as Chungjagye(淸字系)-Chungryo(淸麗), Seummi(纖美), Chunjul(淸絶). Chungryo(淸麗)and Chunjul(淸絶) are major dignity of Tang’s poetical style. Seummi(纖美) is also one of various dignity related to Tang’s poetical style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ry written in refined and beautiful poetic word. The dignity of Jungpo’s poetry is related to his view of life. He is not interested in worldly success and honor.
    It is said that the poetical circles of Goryeo had been in succession to the late Silla’ poetry and had been influenced by Tang’s poetical style in early days. But the latter part of the Goryeo’s poetry was affected by Song’s poetical style. At last both poetical style coexisted in late Goryeo Dynasty.
    The representative poets who wrote poems in Tang’s poetical style are Honggan(洪侃), Jungpo(鄭誧), Jungmongju(鄭夢周), Anchuk(安軸), Kimguyong(金九容), Leesungin(李崇仁).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ir poets have dignity of Chungsin(淸新)・Chungryo(淸麗)・Chunsum(淸贍). As this fact suggests, we know that the poems written in late Goryeo Dynasty developed into poems which have the dignity of Chungjagye(淸字系) ; being in opposition to worldly success and honor.
    This may be because it is associated with social and political chaos of late Goryeo Dynasty. In this script, I looked at Tang’s poetical style in Jungpo’s poetry and the meaning of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addition, I inspected the development of Tang’s poetical style in the history of late Goryeo Dynasty’s literature. As a result, the tradition of Tang’s poetical style in Jungpo’s poetry-the dignity of Chungjagye(淸字系) inherited Honggan’ poetry and continue to not only Kimguyong and Leesungin’ poetry but also Samdangsiin’s poetr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