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栗谷)과 다산(茶山)의사생론에 대하여 (A Study on The Yul-Gok and Da-San’s View about Death and Lif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3.12
45P 미리보기
율곡(栗谷)과 다산(茶山)의사생론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8호 / 269 ~ 313페이지
    · 저자명 : 권문봉

    초록

    본고에서 다룬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는 조선중기의 유학자로서 현실⋅원리의 조화와 실공(實功)⋅실효(實效)를 강조했으며,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 1762-1836)은 조선후기의 실학자 중에서도 경세치용학파인 성호 이익(星湖 李瀷,1681-1763)의 학문을 계승⋅발전시켜 집대성한 학자이며, 사상가이다.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두 사상가가 삶과 죽음에 대하여 어떠한 관점을 가졌는가를 천착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이들의 논변을 통하여 생과 사가 둘이 아닌 사생일여(死生一如)라는 인식을 지니고 치열한 삶의 현장에서 인간의 원초적인 고통과 고뇌를 해결하려 한 점이 그들의 위대한 저술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죽음의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등장한다. 자살율은 OECD 국가의 평균 2배에 달하고, 평균수명은 80세를 훌쩍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따라서 한국의 학계에도 사생학은 중요한 연구과제로 대두한 것이다. 한국인에적합한 사생학을 구축하기 위해서 우리는 한국인의 전통적 사생관을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할 당위성을 발견한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조의 유학자인 율곡과 다산의 사생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율곡의 사생설과 다산의 사생관에 대하여유교의 전통적 사생관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본문의논술을 간략하게 요약하여 율곡과 다산의 사생론(死生論)의 기본방향과 그 유교적 의미를 천명하고자 한다.
    요컨대 유학자 율곡과 실학의 집대성자인 다산은 사생관에있어서 그 시기적인 차이는 있으나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유교의 사생관을 수용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면으로 논리를 전개한 면에 있어서는 공통점이 매우 많다고 하겠다. 이는孔子가 사후의 세계를 언급하지 않았듯이 이 두사람도 사후세계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이 공통점이라 하겠다.
    사후의 낙토(천당과 극락세계)를 기대하기 보다는 현세를 충실히 인간답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시사(示唆)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modern society the problem of death appeals one of the mostimportant issue in Korea. Korea is first in international suicidestatistics, the average length of life is more than 80 year. Theresearch on the traditional view of death and life in Korea is urgentlyrequired to establish the proper mental attitude about death and life.
    In this sense I will do a paper on Yul-Gok and Da San’s thoughtabout death and life, who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 inChosun Dynast. His thoughts had strong influence on the Korean’sview of death and life.
    He remained several good schemes for death and life, phantom,Taoist hermit, pray, medicine. We can see the Confucian thoughtsabout death and life of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critical view onthe Buddhism an Taoism. Yul-Gok and Da San’s thoughts aboutdeath and life gives us the reasonable way to think about death andlife, though it is not the fantasy, eternal life in Heaven. Yul-Gok and Da San’s view on life and death is a very important part that is worthstudying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nd impliesmeaningful points for Confucius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well-being and well-dying in the 21st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