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시대 미용사의 직업경험과 근대인식, 그리고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Job Experience, Modern Perception, and the Form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in the Colonial Period)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1.09
47P 미리보기
식민지 시대 미용사의 직업경험과 근대인식, 그리고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4권 / 3호 / 165 ~ 211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식민지 시기의 외모관리는 단지 사적인 영역에 머물지 않았고, 공적인영역에서 가시화되게 되었으며, 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산업화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시 근대적인 외모관리가 이루어졌던 미용원이라는 산업공간에 주목하여 그 공간에서 일하던 여성의 직업경험과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에서 1940년대에 식민지조선의 경성에서 미용사로 일했던 임형선의 생애구술을 분석한 결과, ‘미용원’이라고 하는 영업장소를 중심으로 식민지 근대시기에 일본을 통해 들어 온 외모관리 산업과 지식이 물리적으로 가시화되었고 홍보/확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민지 근대 시기에 들어오게 되면서 ‘외모관리’는 문명/문화와 연결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도입되게 되었다. 미용원은 이러한 근대적인 생각과 가치관이 산업적으로 수행되던 장소였는데, 구술자는 그 공간에서 미용사 일을 하면서 이를 받아들이고 내면화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구술자의 직업경험과 이를 통해 그녀가 맺게 된 사람들과의 관계성을 살펴보면서, 그녀가 어떤 식으로 당대에 확산되었던 여성과 관련한 진행되었던 다양한 담론, ‘신여성’ 담론과 ‘현모양처’ 담론을 변주하고 수용하면서 직업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만들어 갔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즉, 구술자는 직업활동의 유지와 중단, 그리고 재개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상황과 처지가 자신이 존경하면서동시에 질시했던, 그러면서도 결국 모방하고자 하였던 ‘신여성’(미용실고객)들과는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였으며, 이를 통해 당시 대부분의 신여성들에게 강요되고 결국은 수용되었던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면서, 직업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즉, 1930년대서비스직 여성 개인은 직업 경험과 이에 수반되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당대에 혼재되고 경합되었던 여성을 둘러 싼 다양한 이데올로기와대면하였는데, 이를 자신의 상황과 함께 비교, 점검해 가면서 각각의 담론을 수정하고 차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근대적인 직업 정체성을 형성해 나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Appearance manag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did not just remain private; it became visible in the public domain and industrialized around the urban are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dustrial space of the hair salon, where modern appearance management was carried out at the time, and tried to understand the work experience and job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a woman who worked there. According to the interviewee Lim Hyung-sun, a hairdresser in Gyeongseong, the appearance management industry and knowledge imported from Japan became visible and promoted in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and 1940s.
    Also, the ‘appearance management’ became strongly connected to ‘civilization’ emphasized and forced by imperial Japan. The hair salon was a place where these modern ideas and values were carried out industrially. It seems that the interviewee was able to accept and internalize them while working as a hairdresser in Colonial Joseon. Meanwhile, through maintaining, suspending, and resuming her career, she understood that her situation and social status were different from the “new women” she had admired and tried to imitate, thus could manage to develop an identity as a career woman. In this process, she formated her occupational identity by challenging and revising various discourses regarding women in Joseon, such as the ideology of the “new woman” and “Good wife and wise m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