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투표선택, 정치제도, 그리고 민주주의 2012년 총선과 대선의 투표행태와 연관성 분석 (Electoral Choice, Political Institutions, and Democracy An Analysis of Voting Behavior and the Association between Legislative and Presidential Election in 2012)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3.04
32P 미리보기
투표선택, 정치제도, 그리고 민주주의 2012년 총선과 대선의 투표행태와 연관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평화연구 / 21권 / 1호 / 215 ~ 246페이지
    · 저자명 : 안용흔

    초록

    논문에서 우리는 18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투표행태를 보다 정확하게이해하기 위해서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에서 보여준 유권자들의 투표행태 경향을비교했으며, 더 나아가 유권자의 투표선택에 있어서 19대 총선과 18대 대선 간의 연관성 여부를 분석했다. 우선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에서의 유권자 투표행태에 대한비교분석 결과, 이들 두 선거에서의 유권자의 투표경향은 기본적으로 변화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에서의 유권자는 경제투표보다는 세대투표, 지역투표, 이념투표, 그리고 현 정부업적에 대해 회고투표를 했다.
    논문은 이어서 대통령선거 동반효과를 분석했던 연구들이 채용한 두 가지 방법,즉 무스(M. Moos)와 제이곱슨(G. Jacobson)의 방법을 보완, 활용하여 19대 총선과18대 대선 간의 연관성을 규명했다. 무스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분석결과에의하면, 지역주의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유권자들의 총선에서의 투표선택과 대선에서의 투표선택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했다. 또한 제이곱슨의 방법을 활용한 분석에 따르면, 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를 지지했던 이들이 문재인 후보를 선택할 확률이나 새누리당 후보를 찍었던 이들이 박근혜 후보를찍을 확률 모두 통계적으로나 실제적으로 모두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논문에서 이루어진 두 개의 분석 작업은 한국 민주주의발전을 위한 정치제도개혁과 관련하여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첫 번째 시사점은 우리사회가 안고있는 문제가 지역문제에서 세대, 그리고 이념문제로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이들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현행 한국의 민주주의제도, 특히 대통령선거제도로서 결선투표제와 의회선거제도로서 비례대표제 우위 혼합선거제로의 선거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 시사점은 국회의원선거와 대통령선거에서 보이는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고려할 때,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와 실시시기를 일치시키려는 제도개혁안은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intends to make a comparison of Korean voters' electoral choice in the 19th legislative election and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Furthermore,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elections in order to figure out more clearly on the Korean voters' voting behavior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he comparison of Korean voters' electoral choice in the 19th legislative election and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reveals that there has been no fundamental change in Korean voters' voting pattern in these two elections. In the 19th legislative election and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Korean voters cast their ballots in terms of generational, regional, ideological, and retrospective voting rather than economic voting. In this voting pattern evident in Korean voters' voting behavior, there has been a slight change in the effect of such variables as “generation,” “region,” “political ideology,” and “the evaluation of the incumbent government's performance” on voters' electoral choice.
    While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 of region becomes weaker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han in the 19th legislative election, that of such variables as generation, political ideology, and the evaluation of the incumbent government's performance comes to be stronger.
    Second, this paper takes an effort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19th legislative and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by adopting the two methods which were suggested by Moos and Jacobs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esidential coattail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method proposed by Moos, the association between voters' electoral choice in the legislative election and the presidential election is statistically very significant, while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variable of region. The analytical result obtained by adopting Jacobson's method displays that both the probability that those who supported candidates from the Democratic Unification Party in the legislative election cast their votes to Moon Jae-In and the probability that those who voted for candidates from Saenuri Party cast their ballots to Park Geun-Hye are statistically and substantially very significant.
    These two analyses suggest crucial implications regarding institutional reform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The first implication is that it is time to seriously consider the electoral reform of both the presidential electoral system from the plurality system to the run-off system on the one hand, and the legislative electoral system from the multi-member plurality system to the multi-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n the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평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