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 규제 그리고 기술혁신의 긴장관계 : 영국 경험에서 도출한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Tensions in Law, Regul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Recent Cases from the UK Experienc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16.11
21P 미리보기
법, 규제 그리고 기술혁신의 긴장관계 : 영국 경험에서 도출한 최근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제규제와 법 / 9권 / 2호 / 89 ~ 109페이지
    · 저자명 : 카렌 영, 이범수, 윤혜선

    초록

    기술혁신과 규제의 관계는 종종 불편한 관계로 그려진다. 이 그림에서 규제는 과학과 인류의 진보를 방해하는훼방꾼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해 야기되는 다양한 위험에 대한 보호장치로 기능하는 규제의 필요성과 가치에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규제는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발전의 속도를 늦추고 그러한 잠재력을 저해하는 것으로이해된다. 이 글은 최근 영국이 경험한 기술혁신에서 도출한 세 가지 사례를 고찰하면서, 규제에 대한 이와 같은전통적인 묘사방식에 대하여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도전하려는 것이다.
    첫째, 기술혁신을 위한 법률의 제정(법적 허가)은 신기술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여러 방식으로 시도하였으나 최근 실패로 판명된 잉글랜드의 국가환자기록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 Care.data 사례는이 명제를 분명하게 뒷받침한다. 이 사례는 기술혁신이 도입되는 ‘절차’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특히그러한 혁신이 국가에 의해 주도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해관계자와 일반 공동체에게 제안된 기술혁신의 범위와내용을 결정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특히, 그러한 기술혁신이 많은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것(예컨대, 진료기록의 공유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투명성, 개방성 그리고 국민의참여는 그 기술혁신의 개발과 상용화에 있어서 결정적이고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둘째, 규제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은 기술혁신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법제 개혁은 너무 느리고, 복잡하며, 정치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는 전제를 기반으로 한다.
    최근 영국의회가 심각한 미토콘드리아 질병의 유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를 대체하는 방식의 인간의 생식세포의 유전자 변형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사례는, 심지어 그 기술혁신이 윤리적으로 민감한 것이라 할지라도, 적어도 그 신기술이 중대하고 심각한 질병을 치료할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면, 법제 개혁이 달성 가능한것임을 보여준다. 이 사례 역시 공개성과 투명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는 법률 제정 이전에 충분한 정보에 기초 한 토론과 숙고과정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사례는법제 마련에 있어서 신중하고 점진적 확대를 추구하는 태도가 자칫 국민이 의심과 불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전면적이고 대대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태도보다 국민의 지지를받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법적 규제와 규제당국의 행위는 기술혁신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적극적으로 혁신과 투자를 지원할수 있다. 이는 핀테크 산업의 글로벌 리더가 되고자 하는 영국의 금융당국, 특히 금융행위감독기구(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의 계속되는 노력을 통해 알 수 있다. 영국정부와 금융당국은 최근 각종 사업들을 통해 규제와 규제당국자의 지위를 혁신의 지지자로 확립하기 위해 적극적이고전략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는 규제당국의 전통적인, 대응적인 접근방식, 곧 규제기준 위반행위가 발생한 이후그에 대응하는 전통적인 법집행방식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다. 따라서 FCA는 기술혁신과 신규영업모델의 실험을 허용하는 내용을 포함한 Project Innovate 사업을 전형적이고기존에 확립된 법적 보호체계에 따른 방식 대신 적극적이고비전형적이며 유연하고 민첩하게 운영하기 위하여 다양한시도들 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이 어떠한 성공을 거둘지, 특히, 산업이 발전하면서 소비자가 피해가 어김없이 발생하게될 것인 바, 이 전략이 유지될 수 있을지는 물론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regulation is frequently portrayed as an unhappy one in which regulation is portrayed as ‘getting in the way’ of scientific and human progress. Despite recognition of the need and value of regulation in order to safeguard against various risks pos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regulation is typically understood as slowing the pace and hindering the potential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Drawing on three cases from recent UK experie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is paper challenges this conventional narrative in three ways.
    First, it suggests that legislative authorisation which permits technological innovation is a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condition for its successful reception into society. This is vividly illustrated by the recent failed attempt to introduce a national patient record database in England called care.data, demonstrating that the process through which technological innovations is introduced is a matter of considerable importance, particularly when the innovation is driven and undertaken by the state itself. Affected stakeholders and the general community must have meaningful opportunities to determine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oposed technological innovation, particularly when it affects many people in ways that they care deeply about (such as the sharing and use of their medical records), so that transparency, openness and public participation in thei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re vital and indispensible.
    Secondly, the conventional narrative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legislative reform is too slow, cumbersome and politically difficult to achieve in order to pave the way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the recent decision of the British Parliament to introduce legislation to allow human germline genetic modification in the form of mitochondrial transfer aimed at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serious mitochondrial diseases demonstrates that legislative reform is achievable, even for technological innovations that are ethically sensitive, at least for new techniques which offer the prospect of ameliorating serious and debilitating medical conditions. This case also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openness and transparency to facilitate informed public reflection and debate prior to legislative reform, and suggests that piecemeal incremental reform is more likely to garner public support compared with more ambitious reform that might be more likely to raise public suspicion and mistrust.
    Thirdly, rather than obstruc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legal regulation and the activities of regulators might actively foster innovation and investment, evidenced by on-going efforts by UK financial regulators, particularly those of the Financial Conduct Authority (FCA), to establish the UK as the global leader in FinTech. Recent initiatives by the UK government and UK financial regulators adopt a pro-active, strategic role, seeking to position regulation and regulators as supporters of innovation. This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reactive approach of regulators that characterizes traditional enforcement work which responds to suspected violations of regulatory standards after they occur. Hence the FCA’s Project Innovate involves attempts by the financial regulator to operate in a pro-active non-conventional, flexible and agile way rather than through conventional, established legal protection regimes to allow for experimentation in tech innovation and new business models. What remains to be seen, of course, is how successful this strategy will be and – in particular – whether such a strategy can be maintained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consumer harm invariably occu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규제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