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과세처분과 납세의무 신고의 위법, 그리고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 간 관계 (The “Illegality” of Tax Assessments and Tax Returns, and the so-called “Petition for Re-Assessment ex post” under the Korean Basic Framework Act for National Taxe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2.06
39P 미리보기
과세처분과 납세의무 신고의 위법, 그리고 후발적 경정청구의 사유 간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60호 / 153 ~ 191페이지
    · 저자명 : 윤지현

    초록

    2010년대에 들어와서, 대법원판결들을 통하여 ‘후발적 사유에 의한 경정청구’, 또는 줄여 말해서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의 활용 폭이 크게 넓어지고 있음을 쉽사리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납세의무의 존부나 크기를 다투는 취소소송이 계속 중인 상황에서 이 ‘후발적 사유’가 존재할 때, 납세의무자가 따로 후발적 경정청구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계속하는 취소소송의 절차 내에서 이를 과세처분이나 경정거부처분의 ‘위법 사유’로 주장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의문이 생길 수 있다. 대법원은 2002년에 함께 선고된 두 건의 판결을 통해서 후자(後者)의 입장을 취하였다(‘대상 판례’). 이는 ‘후발적 사유’가 곧 과세처분이나 신고의 ‘위법 사유’가 된다는 일반론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러한 일반론은 조세쟁송법 체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함의(含意)를 갖게 된다.
    이 글은 이와 같이 대상 판례의 일반론을 전제했을 때, 이것이 기존의 조세쟁송법이나 행정구제법의 이론 체계와 어떤 관계에 놓이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라 더 규명되어야 할 논점들을 제시한다. 또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가 가지는 제도적 의의가 절차적 확정력, 또는 이른바 불가쟁력(不可爭力) 개념의 적용 범위에 대한 예외를 설정하는 데 있다는 것이 대상 판례의 이론적 귀결임을 보인다. 후발적 경정청구 제도를 둘러싼 현재의 이론적 논의가 후발적 사유의 범위 획정(劃定)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다고 할 때, 후발적 사유가 이와 같이 과세처분·경정거부처분의 위법 사유에 해당한다는 점과, 불가쟁력의 예외를 인정받는 요건이 된다는 점을 모두 균형 있게 감안한 일반론을 도출하는 것이 이 제도에 관한 현재의 주요 쟁점이자 앞으로의 연구과제가 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Basic Framework Act for National Taxes, taxpayers in Korea, who have over-reported their tax liabilities are entitled to file a petition for rectification within five years after the lapse of the period for submitting tax returns. The petition in this sense is called the (ordinary) “petition for re-assessment” (hereinafter either “PR” or “OPR”). Another type of PR is available to taxpayers, when one of the qualified incidences has occurred that affects their outstanding tax liabilities. This is allowed within three months after the relevant incidence has occurred. The latter type of PR is called the “PR ex post,” which lies in the heart of the discussion in this article.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discusses various implications that the PR ex post, of which the scope of application has of late rapidly expanded to a remarkable extent under the Supreme Court case law, has in the general theoretical framework of tax controversies in Korea. After analyses and discussions over various technical procedural issues relating to litigations over OPR, PR ex post and the like,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 legal concept that is compromised when a PR ex post is accepted, is none other than the statutes of limitation that prohibit taxpayers from filing appeals against tax assessments or his or her own tax returns. This obvious aspect of the PR ex post is, however, often not fully appreciated, partly because taxpayers who are in a position to file PR ex post tend to raise the issue at the already pending lawsuits, rather than to file a separate PR ex post. In such cases, the court examines the relevant incidence (not as a cause for a separate filing of an PR ex post but) in the context of ordinary review of the “legality” of the tax assessment or tax returns at the already pending lawsuit, which is a practice long legitimized by the Supreme Court. This trend might have encouraged the current trend of expansive interpretation on the statutory provisions allowing use of the PR ex post.
    Considering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the rules on the foregoing statutes of limitation constitute, for the sake of legal certainty, one of the important backbones of the whole theoretical framework of Korean tax controversies, howev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current trend of expansive reading of the statutory provisions on PR ex post should be carefully re-examined. In this regard, this article calls for more robust theoretical frameworks of general nature that delineate the exact scope of application of PR ex post. It is intended and hoped that the analyses and discussions of diverse technical issues contained in this article may serve as cornerstones for such subsequent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