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 사회 이론 수용 연구의 토대: 라몽, 번역사회학, 그리고 ‘더 부르디외적인’ 접근*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Study on the Reception of Western Social Theory: Lamont, Sociology of Translation, and ‘The More Bourdieusian-Like Approach’)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3.05
38P 미리보기
서구 사회 이론 수용 연구의 토대: 라몽, 번역사회학, 그리고 ‘더 부르디외적인’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7권 / 2호 / 51 ~ 88페이지
    · 저자명 : 이시윤, 이용승

    초록

    이 연구는 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 인문사회과학장에서의 서구 사회 이론 수용 현상을 지식사회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탐색한다. 이론 수용 연구의 전범을 이루는 미셸 라몽의 작업, 그리고 관련된 연구들은 이론 자체에 내장된 가치보다는 수용지 환경과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회학적인 접근법이 필요함을 일깨워 주었다. 하지만 라몽류의 연구는 실제로는 자신들이 천명하는 바를 잘 실행하지 않았고, 수용 행위자 집단에 대한 분석 없이 ‘제1세계’ 간 거시적 지식 이동만을 표피적·기술적으로 다루는 데 그쳤다. 또한 이 접근법에는 암묵적으로 수용 공간의 제도화 정도의 문제를 누락함으로써 사실상 지식 전파의 지대한 부분을 이루는 비서구권에서의 수용을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이러한 문제가 부르디외 장 이론에서 출발한 번역사회학을 통해 성공적으로 극복될 수 있음을 논했다. 학술장 내 구체적 행위자들의 상징투쟁을 복합적으로 다루는 장 분석은 이론의 수입과 번역 행위를 수용 공간의 제도화 문제를 고려하면서 인과적으로 설득력 있게 규명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어 번역사회학 연구의 대상이 저술번역 문제에 집중되어 있어 장 이론의 함의를 충분히 살리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초점을 번역 이후의 상호작용으로 옮겨 이론 수용 행위자들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포착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ractice of accepting the Western social theory, focusing o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e 1990s. The works of Michèle Lamont and followers, the referential figure of reception of theory, have called for a sociological approach that pays attention to the interaction of actors with their host environments rather than the inherent value of the theory itself. In practice, however, Lamont's work did not quite achieve what it set out to do, providing a superficial and descriptive account of macro-level knowledge flows among the ‘first world’ without the concrete analysis of the host actor groups. Furthermore, a central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implicitly omits the question of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eceptive space, thus limiting its ability to account for non-Western appropriation, which constitutes a large part of knowledge transmission. This study has argued that this problem can be successfully overcome through a sociology of translation that draws on Bourdieu's field theory. Field theory, which deals with the symbolic struggle of concrete actors in the academic field, can causally explain the import and translation of theory, sufficiently consider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ceptive site. However, the authors pointed out that the sociology of translation research has not fully realized the implications of Field theory due to its focus on the issue of text translation. So we suggested the need for research that shifted the focus to post-translation interactions to capture the complex interactions of theory-receiving a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