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ufendorf의 De Officio 解題 -인간의 행위와 법, 그리고 자연법에 관하여- (Pufendorf’s Natural Law Theory -Regarding Man’s Actions, Law, and Nautral Law-)

7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5
71P 미리보기
Pufendorf의 De Officio 解題 -인간의 행위와 법, 그리고 자연법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63호 / 217 ~ 287페이지
    · 저자명 : 정일영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의 법사상가 푸펜도르프(S. Pufendorf)의 대표적 저작 중 하나인 De Officio Hominis et Civis juxta Legem Naturalem (1673)의 일부를 발췌하여 번역한 후, 이를 바탕으로 그의 자연법 체계의 기초를 이루는 주요 개념인 인간의 행위와 법 일반, 그리고 자연법의 본성에 대한 논의를 그 시대적 배경에 비추어 풀어보고자 한다. 푸펜도르프가 태어나서 자란 곳은 종교 전쟁의 여파가 가장 컸던 신성로마제국 안이었다. 30년 전쟁이 끝나면서 맺어진 베스트팔렌 조약 이전과 이후의 시기를 모두 그 지역에서 경험한 푸펜도르프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사이의 교리적인 차이가 화해될 수 없는 완전한 분리를 의미한다는 점과 신앙의 대립이 그 사회에 얼마나 큰 혼란과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였다. 따라서 그는 사회와 국가 전반에 다시 안정과 평화를 되찾기 위하여 모든 이들이 이해하고 따를 수 있는 보편적인 규범을 자연법에서 찾고자 하면서도, 이를 신학의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세속의 영역에서 확립시키고자 노력하였다. 그렇기에 그 출발점은 이전의 스콜라 학파와 같이 인간의 내재적 본성에 대한 탐구가 아니라 그 외부적 행위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이러한 인간 행동을 구속하는 법의 본질과 더 나아가 그 최고규범으로서의 자연법에 대한 설명으로 논의를 확장한다. 결론적으로 푸펜도르프에게 있어서 법의 구속력이란 법의 내용의 도덕적 옳고 그름이 아니라 이를 외부에서 부과하는 주체의 정당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었으며, 따라서 결국 자연법으로부터 비롯된 인간의 의무 또한 신이라는 불가침적 권위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영어초록

    As his predecessors like Grotius and Hobbes, Samuel von Pufendorf, a renowned natural law jurist and political theorist of his times, played a vi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natural law theory in the 17th century. This thesis will focus on Pufendorf’s basic conceptualization on the actions of men, law, and natural law through partial translation of his work, De Officio Hominis et Civis Juxta Legem Naturalem, from the original Latin text into Korean, in order to provide a framework that will help better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ufendorf’s theory on law and men. Pufendorf was born and raised in the Holy Roman Empire, which was one of the most heavily afflicted lands from the devastation of the Thirty Years War before the Peace of Westphalia in 1648. Having experienced both the times before and after the war, Pufendorf realized that the religious issues between the Catholics and the Protestants could not be absolved and the separation of the two branches of Christianity was final. He also saw that the conflict of such faith brought about great uncertainty and chaos to the life of men. Therefore in order to restore peace and tranquility to society again, Pufendorf believed that a system of universal norms had to be formed through natural law in which everyone, despite of their difference in faith, was able to agree on. Such system was only possible when it was grounded upon the secular world and separated itself from moral theology. Therefore, he starts out not with the nature of man, but with the nature of man’s actions as the starting point to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rom there, the explanation extends to what law is and why it binds the external actions of men, including natural law which, in Pufendorf’s view, was imposed by God him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