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논어』의 극기⋅복례에 대한 게임이론 관점의 해석, 그리고 조선의 도학 정치 (An Interpretation of ‘Restraining the Self’ and ‘Returning to the Rites’ in Analects of Confucius from a Game Theoretic Perspective, and Joseon’s Politics of Learning the Wa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09
38P 미리보기
『논어』의 극기⋅복례에 대한 게임이론 관점의 해석, 그리고 조선의 도학 정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27권 / 3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안재흥

    초록

    ‘사욕을 억제하고’(克己) 성현들이 다스렸던 때의 ‘예로 돌아가면(復禮),’ 모두가 인(仁)을 하게 되어 난세를 극복할 수 있다. 논어는 극기와 복례의 집단행동에 참여해 덕을 함양하고 공익 지향적 존재에 이르는 방법에 대한 공자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 글은 논어를 대상으로 ‘극기’와‘복례’의 실현을 위한 집단행동과 관련된 메시지들을 추적하고 현대의 시각에서 해석한다. 취지는 현대의 게임이론이 이론적으로 풀어내지 못한 딜레마를 논어가 다루었다는 시각에서 공자를 재해석하고 조선 중기의 도학 정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는 데 있다.
    공자는 아낌(愛)과 용서(恕)가 요구되는 공공재의 창출을 위한 집단행동(죄수딜레마게임)과, 신뢰(信)와 예(禮)가 요구되는 공공재의 훼손을 복원하기 위한 집단행동(보장게임), 두 차원에서 인을 하게 되는 협력적 집단행동을 설파했다. 도학(道學)의 기원은 공자다. 당우삼대는 성군이 도(道)로 통치했던, “도통(道統)과 치통(治統)이 합일”했던 시대였다. 공자는치통 대신 학(學)으로 당우삼대의 도통을 전하고자 했다. 도학과 정치는 불가분 연계될 수밖에 없었다. 송 대의 신유학자들은 덕을 함양해 공익지향적 존재가 되는 과정을 학으로 부각했으며, 도를 이루기 위해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역사 비교의 방법과 공자의 관점에서 조선 시대가 추구했던 도학 정치를 해석한다. 천리와 성리를 어떻게 연계하느냐에서 동아시아의 신유학은 분기했다. 도쿠가와시대 오규 소라이는 천리(天理)와 성리(性理)의분리를 주장했다. 이는 근대로의 이행에 일본이 적극적으로 대응하도록 한 씨앗이었다. 반면, 조선의 사(士)들은 천리와 성리를 리기(理氣)의 관계로 해석했으며, 리기 논쟁을 통해 인간의 보편성과 다원성이 인정될 여지를 열었다. 정암은 “리로써 관(觀)하되” “도로써 처신”해 천리와 세속의 도 사이의 균형을 잡고자 했다. 도학을 정치의 중심으로 들였다.
    사들의 관심이 철학적 사유로부터 세속에서의 존재와 제도와 정치로 이동했다. 정암은 천리를 중심으로 삼았던 주자보다는 세속의 도에 집중했던 공자에 가까웠다. 퇴계와 율곡은 도학 정치를 심화했다. 퇴계는 학의 도덕적 권위가 군왕의 정치적 권위를 견제하는 붕당정치의 정치적 토대를 놓았다. 도학 정치의 실천에 도전한 사는 율곡이었다. 인간의 다양성을 인정했으며 칠정(七情)도 선의 연장선상에서 접근했다. 역사적 시각에서 조선의 상황을 ‘중쇠기’로 파악하고 제도 개혁을 주장했다. 그러나 율곡이 지향한 정치는 사림의 경계를 넘지는 못했다. 조선 중기의 시점에서 보면, 근대로의 이행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근대와의 친화성은 도학정치의 전통에 배태되었다.

    영어초록

    If we ‘restrain the self’(克己) and ‘return to the rites’(復禮) of the time when the sages ruled, everyone will be humane(仁) through which hard times will be overcome. Analects of Confucius conveys Confucius’ messages about how to cultivate virtues in the public sphere by participating in collective actions for ‘restraining the self’ and ‘returning to the rites.’ This article analyzes Analects of Confucius from a game theoretic perspective, and based on this, interprets the meanings having resided in politics of the learning of the Way(道學) in the Joseon Dynasty.
    Confucius dealt with collective action to realize public good, which requires charity(愛) and forgiveness(恕) (prisoner’s dilemma game), on the one hand, and collective action to recuperate public bads, which requires trust(信) and ritual propriety(禮) (assurance game), on the other hand. At two levels, that is, Confucius preached varieties of the Way(道) for cooperative collective action guiding to humanity. The learning of the Way originated from Confucius. In the ancient era, sage kings ruled the state in which governance by the Way and political governance were unified.
    Instead of having participated in political governance, Confucius tried to convey the Way by learning(學). Therefore the learning of the Way was inherently related to politics. Neo-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Song Dynasties highlighted the process of cultivating virtues in the public sphere in the term of learning. They participated actively in politics to accomplish the Way. However, Zhu Xi(朱子) interpreted Analects of Confucius from the perspective of heavenly principles(天理).
    From a comparative-historical perspective and from Confucius’ viewpoints, this paper interprets Joseon’s politics of learning the Way. During the Tokugawa period, Ogyu Sorai(荻生徂徠) argued for the separation of the principles of human nature(性理) from heavenly principles. This was the seed embedded with Japan to bring about active coping with the transition to modernity later. In comparison, the scholars of Joseon interpre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ly principles and the principles of human nature as a relationship between li(理), the Principle, and ki(氣), the material forces. The li-ki debates during the entir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opened the space for both universality and diversity of human being.
    Jeongam(靜庵) tri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heavenly principles and the Way by “contemplating with li(理)” but “conducting with the Way.” The learning of the Way was brought to the center of politics. The interests of scholars were shifted from philosophical thinking to worldly existence, institutions, and politics. Toegye(退溪) and Yulgok(栗谷) deepened the politics of learning the Way. Toegye laid a political foundation for faction(朋黨) politics in which the moral authority of the learned checked the political authority of king. The person who challenged the political realization of the learning of the Way in the true sense was Yulgok. He recognized human diversity and interpreted seven emotions(七情) as an extension of goodness(善).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Yulgok understood that the Joseon dynasty had entered into ‘a declining period of middle age’ and insisted that old institutions should be reformed. However, the politics pursued by Yulgok did not go beyond the boundaries of Sarim (士林: Confucian scholars).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 transition to modernity was yet to occur, but affinitity to modernity was embedded in the traditions of the politics of learning the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