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귀납과 연역, 그리고 경험적 실질과 이념적 추상의 간극 (The gap between inductive and deductive, and empirical substance and ideological abstrac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2
32P 미리보기
귀납과 연역, 그리고 경험적 실질과 이념적 추상의 간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62권 / 527 ~ 558페이지
    · 저자명 : 이재룡

    초록

    기독교가 서구 문화에 끼친 영향은 자연과 인간의 철저한 구별, 그리고 현실과 구별되는 천국, 즉 이상적 가치의 세계에 대한 끝없는 동경이다. 이 점이 현실에서 최선을 추구하는 동양적 사유와 다른 특징이다. 키케로는 자연법을 세계질서, 즉 로고스에 동참하는 인간이성의 올바른 판단원칙이라고 했다. 이는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서양사상도 스토아 철학에 이르기까지 동양의 자연관과 비슷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4세기에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를 이원론적 형이상학체계로 재구성했다. 그는 이 세계를 신의 나라와 지상의 나라, 선과 악으로 구분하여 일체는 신의 의지의 산물이며 계시의 은총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경에서 내려준 상하의 수직적 구조시스템은 너무나 견고해서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 인문주의 시대에도 끊임없이 계속되는 정신적 구성력을 보여주고 있다. 종교개혁으로 인해 신으로부터 독립한 인간은 신과 같은 고결한 이성능력으로 신의 위치를 대신하게 되었다. 근대 서구는 주체와 객체, 주관과 객관, 나와 세계, 정신과 육체, 가치와 존재를 엄격히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유구조를 고착화시킨 구조적 모순의 시대요 비운의 역사다. 이 시대의 세계관은 개인주의적 자유주의를 근거 짓는 ‘가치상대주의’ 태도다. 그러나 동양의 학문은 오랜 세월 경험적 이해를 토대로 귀납적 추론을 통해 정립된 삶의 원리를 추구했고, 이를 통해 보편적 사회규범을 정립해 왔다. 동양사회에서 ‘도덕’은 관계 속에서 나의 존재를 인식하는 척도요 주변과의 관계를 통해 나아갈 길을 제시하는 이정표이며, 세계와 우주의 장엄함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통로다. 애민정치를 추구해 온 동양의 정치사는 시종일관 통치행위의 도덕성을 견지해 왔다. 조선시대에 운용된 각종 제도들은 ‘국가권력은 원래 도덕적이어야 한다.’는 근본토대 위에서 이루어져 작동된 것들이다. 서양이 도덕을 이념적 가치로 보았다면 동양은 보편타당한 실재하는 사물의 존재원리로 받아들였고, 동양이 주관과 객관이 서로 상응하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인간으로 바라보았음에 반해, 서양은 그 무엇으로도 대신할 수 없는 세계와 대립된 절대적 자아로 설정한 근본적인 차이를 지니고 있었다. 과연 어떻게 해야 세계로 퍼져가는 한류의 파도처럼 우리의 학문과 사상도 이 세계의 문을 두드리는 쓰나미가 되겠는가?

    영어초록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on Western culture is the endless admiration for the world of ideal values, a heaven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reality, and the thorough distin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his is a different feature from the oriental reason for pursuing the best in reality based on reality. Cicero called natural law the right principle of human nature to join the world order, or Logos. This means that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degree, it has maintained a similar position to the Eastern view of nature until it reaches the Stoic philosophy. In the 4th century, however, Augustine reconstructed it into a dualistic metaphysical system. He divided this world into the kingdom of God and the kingdom of the earth, good and evil, all of which are products of God’s will and given by grace of revelation. Vertical structural systems of upper and lower levels formed by biblical interpretation. is so solid that it shows the mental inerial force that continues through the Renaissance and into the modern humanistic era. Due to the the Reformation, humans who became independent from God took over the position of God with the noble dignity like God. The modern era of the West is an era of structural contradiction and painful history that entrenched a dichotomous thinking structure, that strictly distinguishes subject from object, subjective thinking and objective thinking, whole world and me, mind and body, value and existence. The worldview of this era is a value relativism attitude based on individualistic liberalism. However, Oriental studies have long been a thoroughly empirical understanding, a principle of life established through inductive reasoning, and a universal social norm. Moral values are the laws of change in things that are inherent in things that constantly work and show their consistent order in countless surrounding objects. In Eastern society, "Moral" is a measure of my existence in relationships, a milestone that suggests a way to move forward through relationships with the surrounding world, and is the only way to feel the majesty of the world and the universe. The history of politics in the East, which has pursued politics that loves the people, has maintained the morality of governance throughout. Various systems oper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based on the foundation that state power should be moral in nature. If the West saw morality as an ideological value, the East accepted it as a universal principle of existence of real things, and the East viewed it as a human being in a social relationship where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s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West had a fundamental difference set as the absolute self at odds with the world. What should we do to become a tsunami in which our learning knocks on the door of the world like the wave of Hallyu spreading around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