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서관서, 이아관서, 그리고 이서관아 독서법의 순환체계 (Reading Method of Iseogwana, Iseogwanseo, and Iagwanseo)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4.12
29P 미리보기
이서관서, 이아관서, 그리고 이서관아 독서법의 순환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5호 / 7 ~ 35페이지
    · 저자명 : 김기호

    초록

    본고의 문제 제기는 독서(讀書)라는 용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서(觀書)라는 용어를 왜 이렇게 빈번하게 사용하였을까 하는 데서 출발을 한다. 만약 관서가 독서의 단순한 대체어가 아니고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지칭하는 용어라면 이를 밝히는 일은 고전 독서이론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일이 되리라 본다.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900여 개의 자료를 추출하고 ‘책을 보다[관서(觀書)]’의 ‘문장 구조’를 기준으로 하여 이들 자료를 유형화해 본 결과, 관서 단독으로 사용 된 자료들인 관서단독형[이서관아형], ‘관서’에 ‘이서(以書)’가 붙어 ‘관(觀)’을 수식하는 자료인 ‘이서관서형’, ‘관서’에 ‘이아(以我)’가 붙어 ‘관(觀)’을 수식하는 자료들인 ‘이아관서형’ 등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독서론적 관점에서 볼 때, 관서단독형은 ‘책으로써 나를 보기인 이서관아(以書觀我)’의 독서법으로 책의 정신을 독서인의 마음속으로 수용하고 확장하는 단계이며, 이서관서형은 ‘책으로써 책을 보기인 이서관아(以書觀書)’의 독서법으로 선입견을 세우지 않고 허심(虛心)을 견지한 상태에서 독서를 시작하는 단계이며, 이아관서형은 ‘나로써 책을 보기인 이아관서(以我觀書)’의 독서법으로 독서 과정에서 책의 정신과 독서인의 마음이 합일하는 단계이다. 셋째 독서의 단계로 보면, 이서관아(以書觀我) 독서법은 독서의 목적과 관련된 단계이며, 이서관서(以書觀書) 독서법은 독서인의 독서 관점과 관련된 단계이며, 이아관서(以我觀書) 독서법은 독서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독서인의 책 통제성과 관련된 단계이다. 이들 단계의 순차적·계기적 관계를 나타내면 ‘이서관서[1단계] ⇔ 이아관서[2단계] ⇒ 이서관아[3단계] ⇒ 이서관서[1단계]’의 순환체계가 된다. 넷째 이서관서 독서법, 이아관서 독서법, 이서관아 독서법은 현대인들의 독서 병폐에 대한 치유제가 될 수 있다. 자신의 선입견으로만 책을 보려는 현대인의 이기관서(以己觀書) 독서, 책을 놓으면 망연히 책의 내용을 모두 잊어버리는 현대인의 자기 과시형 독서 등의 병폐를 치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reason why the term ‘Gwanseo’(觀書) was used frequently in old documents instead of the more usual term ‘Dokseo’(讀書).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Gwanseo’(觀書) is a term which refers to an independent theoretic system on reading method. And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ystem, which will be helpful for deeper understanding on classical reading the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bout 900 ‘Gwanseo’(觀書) materials ou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DB were extracted, which were classified and named into three types by the standard of sentence structure, ‘to see a book’[觀書]. For the materials only related with the Juja's poem Gwanseoyugam(觀書有感), the materials which belong to it are the Gwanseo single type[Iseogwana type, 以書觀我形]. ‘The type of Iseogwanseo’ is materials in which ‘Gwan’(觀) is modified by the addition of ‘Iseo’(以書) to ‘Gwanseo’(觀書). ‘The type of Iagwanseo’ is materials in which ‘Gwan’(觀) is modified by the addition of ‘Ia’(以我) to ‘Gwanseo’(觀書). Secondly, the three types’ meaning is found out in view of reading theory. The Gwanseo single type[Iseogwanseo, 以書觀書形] is a reading method ‘to see myself by a book’ [以書觀我], which is a step of inner acceptance and discovery of Hwalsoo(活水)[Hwali, 活理] in a book. The type of Iseogwanseo is a reading method ‘to see a book by a book’[以書觀書], which is a step to start to read a book in a condition of not having a preconceived idea and holding on to empty-mindness. The type of Iagwanseo is a reading method ‘to see a book by myself’[Iagwanseo, 以我觀書], which is a step of unification of the book’s spirit and the reader’s mind. Thirdly, the sequential and opportune relation of the three reading methods is found out. In view of the reading step, Iseogwana reading method is a step related with the aim of reading. Iseogwanseo reading method is a step related with the standpoint of reader’s reading. And Iagwanseo is a step related with the reader’s control of a book which is realized in the course of reading. Therefore, the sequential and opportune relation of the three reading methods become ‘Iseogwanseo[the first step] ⇔ Iagwanseo[the second step] ⇒ Iseogwana[the third step] ⇒ Iseogwanseo[the first step]’. Fourthly, the three reading methods can be a remedy for the reading malady of contemporary people. Iseogwanseo reading method functions possibly as a remedy for the contemporary reader’s Igigwanseo(以己觀書) reading method which is to see a book by his own preconceived or previous idea only. And also, Iagwanseo reading method which features an unification of the book's spirit and the reader’s mind can be a remedy for the malady of self-displaying reading method by which contemporary readers forget all the contents of the book as soon as they finishes reading a book. Today, readers can not help reading a book for their actual purposes. However, reading for inner introspection and development is also needed. Consequently, Iseogwana reading method can be a remedy for the reading tendency of contemporary readers which focuses on practicality on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