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속가능한 미래, 삶의 질 그리고 생태교육 (Sustainable Future, Quality of Life and Ecological Educatio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0.08
23P 미리보기
지속가능한 미래, 삶의 질 그리고 생태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5권 / 2호 / 93 ~ 115페이지
    · 저자명 : 손승남

    초록

    본 연구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와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하여 생명윤리 관점에서 생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Klafki의 도야이론에 근거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하여서는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시대적 핵심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다가올 세대에게 길러주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ESD)도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ESD는 비단 환경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전지구적으로 고찰하면서 기초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중의 인식과 이해를 증진시키고, 모든 종류의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ESD는 기존의 환경교육과의 위상설정이라든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이익상충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근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명윤리에 바탕을 둔 생태교육에로의 관점전환이 필요하다. 생명윤리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Meyer-Abich의 ‘더불어 사는 세계(Mitwelt)’, Schweitzer의 생명외경, Jonas의 책임의 원칙, 김지하의 생명중심윤리를 탐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모든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이제까지의 그릇된 생명관을 반성하고, 미래대처능력을 길러 나가며, ‘지구는 하나’라는 굳건한 인식하에 지구와 생명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미래세대의 삶까지도 책임을 지는 윤리적 자세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ecological educ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ethics for our sustainable future and better quality of life. On the basis of Klafki's theory of 'Bildung' it is argued that ability to cope with the present and future problems is needed for the youth. A central feature of the concept ESD is that its primary focus was shifted from traditional environmentalism to the notion of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eeking the current trends of ESD some limits was mentioned that such a social contract is not practicable and social change is a complex process which is not easily predictable.
    Therefore, I argued that ecologic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life ethics. Agreed with Bonnet I emphasized that the essence of sustainability is intrinsic to authentic human consciousness. The Meyer-Abich's concept of 'Mitwelt' makes clear for us to respect other organisms in their own value. The ethics of reverence for life(Schweitzer) must keep in mind that our responsibility spreads beyond inter-human relations to the biosphere(Jonas). A life-centric ethics like Ji-Ha Kim can be seen as an atempt to introduce spirituality to reformative movement.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1) to reflect the wrong way of life and to educate competencies to cope with the future, 2) to safe our quality of life through coexistence and mutual survival, and ‘for our only one earth’ we should 3) respect earth and life in all its diversity, 4) care for the community of life and 5) secure earth's bounty and beauty for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