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 탈분단 그리고 통일의 상상력 넓히기 (Division, Post-division and the Extending the Imaginative Power of Unific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분단, 탈분단 그리고 통일의 상상력 넓히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북한학연구 / 15권 / 1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정영철

    초록

    지난 평창올림픽의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둘러싼 논쟁은 여러 가지의미를 던져준다. 즉, 과거와 같은 ‘민족’의 당위성만으로 통일을 말하기 어렵게되었다. 또한, 자유, 정의, 연대, 평화 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가 통일 문제에서도힘을 얻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통일 담론과는 구분되는 ‘탈분단의 담론’이 등장하였다.
    탈분단의 담론은 분단이 우리 사회에 가져다 준 여러가지 모순과 구조적인 왜곡 등을 성찰하면서 당장의 통일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분단 모순을 해소해가는 것에 우선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탈분단은 분단의 극복이 반드시 통일일 필요는 없다는 문제 의식 속에서 새로운 통일의 방도를제기하고 있다. 탈분단의 담론은 지금까지의 민족-민족주의에 대한 부정과 보편주의적 가치관에 우선을 둠으로써 기존의 분단의 시선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탈분단의 담론은 달라진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며, 통일에대한 기존의 도식화된 사고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방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있다는 점에서 협소한 민족적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탈분단의 담론이 기초하고 있는 보편주의적 가치관에 기반한 통일은 자칫 우리에게 익숙한가치를 통일의 가치로 제기함으로써 북한에 대해 패권적 태도를 보일 우려가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통일의 가치로서 민족과 민족주의의 현실적인 힘을 도외시할 수 있는 우려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탈분단의 담론은 민족과 보편주의에 대해 조금 더 신중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통일은 보편과 특수를 넘어 남북이 함께 합의할 수 있는 ‘합의된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에 있다.

    영어초록

    The controversy over a single team of South-North Korean women’s ice hockey at the last PyeongChang Olympics has several implications. That is to say, it is difficult to say unification of Korea with just the necessity of ‘nation’ as in the past. It also showed that universal values such as freedom, justice, solidarity, and peace are gaining strength in the issue of unification.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discourse of unification, emerged.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reflects the various contradictions and structural distortions that the division has brought on our society, and it gives priority to the elimination of the contradictions within ourselves rather than the immediate reunification. In addition, the post-devision raises a new unification strategy within the consciousness that the overcoming of the division is not necessarily a unification.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show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division by giving priority to the universal values and negative the ‘nation-nationalism’ up to now.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is positive in that it reflects a changed reality, and it is beyond narrow national ideology in that it pursues new ways beyond the existing schematized thinking about unification. However, the unification by the universal values based on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is likely to show a hegemonic attitude toward the North by raising the values familiar to us as values of unification. Also, there are concerns that many people can overlook the real power of ‘nation-nationalism’ as the value of unification. In this sense,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needs to be more cautious about nation and universalism. More importantly, reunification is about creating a “consensual value” that can be agreed upon by both Koreas beyond universal and spec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