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 장소 그리고 환대: 난민 문제와 함께 (Language, Place and Hospitality: With the Refugee Proble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03
23P 미리보기
언어, 장소 그리고 환대: 난민 문제와 함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107호 / 205 ~ 227페이지
    · 저자명 : 윤성우

    초록

    언어, 장소, 환대, 이 세 용어, 세 개념이 주는 인상과 느낌은 무엇일까? 언어와 장소는 우리에게 낯선 개념들은 아니다. 아마 문제는 환대일 것이다. 현대철학에서 ‘환대’의 위상이나 좌표는 어디인가? 우리는 그 좌표를 명확하게 찍어보기 위해 ‘난민’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문제영역을 설정하려고 한다. 이렇게 말하고 보면 난민을 위한 환대, 난민의 환대라는 직접적이고 신속한 결론을 내기보다는 우리는 그 문제 영역에서의 환대는 언어의 환대, 그 다음으로 장소의 환대라는 우회로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하려고 한다. 언어의 환대는 번역을 통한 언어의 환대를 의미하고, 장소의 환대는 물리적 장소와 삶의 공간의 의미에서 환대는 물론이고 ‘세계’(Welt)와 ‘사이’(inter-esse)의 형성이라는 의미도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려고 한다. 끝으로 언어 환대와 장소 환대라는 개념들이 서로 간에 지니는 긴밀한 관련성을 적절한 예를 찾아간략하게나마 그려보는 것으로 만족하고자 한다.
    실상 모든 환대는 그것이 어떤 경우에 발생하든 그 정의상 그리고 그 개념상 어느 정도 장소의 환대이다. 우리 문제제기의 순서가 먼저 ‘장소의 환대’, 그 후에 ‘언어(들)의 환대’였어야 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장소의 환대로 바로 갈 수 없는 이유는 지구상에서 그 장소는 어디든 개별 자연 언어와 무관하거나 관계없는 장소는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세계-내-존재임과 동시에 언어-내-존재이다. 언어와 장소라는 두 문제, 언어의 환대와 장소의 환대라는 두 환대의 성격이 가장 격렬하게 접점이 되는 문제영역이 바로 난민 문제의 영역라고 판단된다. 필자는 이점을 국내의 선행연구를 통해 난민임(refugeehood)을 인정받는 첫 관문과 그 과정을 거치며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두 번째 관문의 차원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접근하고자 한다.
    비록 언어 환대의 문제가 보다 극명하게 드러나는 지점이 난민의 영역이라는 필자의 판단에서 이런 문제제기를 하는 것이지, 난민 문제가 언어 환대의 유일무이한 지점이라는 주장은 할 수 없다고 본다. 우리가 앞으로 하려는 작업은 방금 위에서 제기한 두 관문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를 아주 구체적인 수준에서 해결하려는 노력을 하는 정책적 방향은 아니며, 언어 간의 비대칭과 제도적 해결에 있어서 언어를 바라보는 태도, 지향, 관계설정이라는 보다 철학적이고 인문학적 방향임을 전제한다.

    영어초록

    What kind of impressions do these three terms, or concepts, give: language, place, hospitality? Language and place are familiar concepts to us, but perhaps the problem lies within hospitality. Where does the status for ‘hospitality’ lie within the realm of modern philosophy? Let us set a more specific boundary for this problem with the term ‘refugee’ to closely pinpoint its coordinates. When put in this way, rather than quickly jumping to a direct conclusion of hospitality for or of refugees, it must be argued that we should take a detour from the hospitality of language then to the hospitality of location within this context of hospitality. Hospitality of language means a linguistic one through translation. Hospitality of place would mean a physical place and a space of living, but we should also consider the formation of ‘the world (welt)’ and ‘the in-between (inter-esse)’. To conclude, let us briefly find suitable examples of the close relevance between the hospitality of language and the hospitality of place.
    Practically, all hospitality, no matter what circumstances it occurs in, is by definition and concept tied to the hospitality of location, to some extent. Perhaps the order of our questioning should have first been the ‘hospitality of place’ then the ‘hospitality of language(s)’. However, the reason why we cannot jump directly into the hospitality place is because there is no place on earth that is irrelevant or unrelated to each individual natural language. Humans exist as both beings-in-world and beings-in-languag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text of the refugee problem lies within the area where the characters of both the hospitality of language and place most fiercely cross one an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