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見寺 寶金鐘銘」과 寺名의 變改 과정에 대하여 (A Study on ‘Gogyeonsa Bogeumjongmyeong(古見寺 寶金鐘銘)’ in Kajo-myeon, Keochang-gun, and the Nature of Accumulation of the Temple Nam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6
34P 미리보기
「古見寺 寶金鐘銘」과 寺名의 變改 과정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3권 / 199 ~ 232페이지
    · 저자명 : 박기용

    초록

    본고는 「古見寺 寶金鐘銘」(1630)을 조사, 번역하여 창건 유래에 나타난 설화를 분석하고, 사실과 비교․대조하여 「鐘銘」의 특징과 寺名 변천의 과정을 밝히고자 한 연구다.
    銘文의 전문은 92행, 글자 수는 약 755자이다. 한 줄의 글자 수는 적게는 4자, 많게는 14자로 배열되어있다. 본문 내용은 사찰 창건 유래, 사찰의 재난과 재건, 종의 제작 과정, 제작 주체와 發願, 銘은 사찰 연기와 鑄成者의 공로를 칭송하는 내용에 이어서 제작에 관련된 52명의 명단이 기록되었다.
    「鐘銘」의 창건 설화를 李穡의 「重修記」(1379)와 ‘시대․인물․이동․풍수’ 등의 話素를 중심으로 비교․대조하면 ‘시대․풍수’ 화소는 내용이 대동소이하고, ‘인물․이동․불경’ 화소에서는 變改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寺名도 창건 당시에는 현암(見菴)이 현암선사(見菴禪寺), 현암사(見巖寺․見岩寺), 고현암(古見岩․古見庵)으로, 고현사(古見寺)로, 19C 말엽에 하현암(下見菴)이 없어지고 견남정(見南亭)이 생기면서 고견사(古見寺)로 변개되었다. 절 이름의 독음은 1969년 「新增東國輿地勝覽」(居昌縣)이 번역된 이래 거의 모든 출판물, DB에서 ‘견암․견암선사․견암사․고견암․고견사’로 讀音하고 있다.
    「鐘銘」는 사실을 추구하는 문장이다. 「古見寺 鐘銘」의 <창건 유래>를 虛構로 기록하여 寺刹緣起의 神異性을 강조하고 勝地에 위치한 사찰의 영험을 드러내고자 口傳 설화의 적층성을 활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鐘銘」가 變體的 특징을 지니게 되었고, 寺名의 변개 과정과 讀音의 오류 역시 구전의 적층성과 무관하지 않다.

    영어초록

    This study will analyze the folk tale about ‘Gogyensa Bogeumjongmyeong(古見寺 寶金鐘銘, 1630)’, which embodies the origin of its foundation, after examining and translating ‘Jongmyeong’ into Hangeul. The study will als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e of the bell and the temple name, after reviewing the historical facts.
    The whole text of ‘Myeongmun(銘文)’was written by ‘Cheonbo(天宝)’ in 1630. It was founded with a height of 13cm and circumference of 194cm. It consists of 92 lines and 755 words. The number of words per each line is not consistent, and varies from at least 4 to at most 14 words. The body of the text includes the origin of the temple's foundation, calamities that affected the temple and its reconstruction, process of producing the bell, the production subject and the prayer. At the bottom, it shows ‘Myeong(銘)’, which sings the praise of the builders' services, and shows the list of 52 people related to the production. The foundation of the bell was led by the monk ‘Jonghae(宗海)’ When comparing the folk tale about ‘Jongmyeong’ with ‘Jungsugi(重修記, 1379)’ written by Lee-saek(李穡) in terms of motives including ‘period, movement, figure, feng shui, shrine where the portrait of an illustrious person is enshrined(影堂)’etc. it is seen that their motives of ‘period, feng shui and shrine’ were the same, but ‘figure, movement, buddhist scriptures’ appear to have been modified.
    The temple name was also modified from ‘Hyeonam(見菴)’ through ‘Hyeoam- seonsa(見菴禪寺)’, ‘Hyeonamsa(見巖寺․見岩寺)’, ‘Gohyeonam(古見岩․古見庵)’, ‘Gohyeonsa․Gogyeonsa(古見寺)’, to ‘Gogyeonsa(古見寺)’ as ‘Hahyeonam(下見菴)’ was destroyed. After ‘Sinjeungdonggukyeog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was translated into Hangeul in 1969, every publication and DB represents it as ‘Gyeonam․Gyeonamseonsa․Gyeonamsa․Gogyeonam․Gogyeonam’.
    Epitaph(碑銘) and Jongmyeong are supposed to reflect historical facts. However, there was a fabricated document about the origin of the foundation of ‘Gogyensa Jongmyeong’, possibly due to the nature of accumulation, a comm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 story is passed down orally. Therefore, ‘Myeong’ ended up having an anomalous style, and modification of the temple's name and errors in its pronunciation came about as a resu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