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 시세계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 박남철 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violence appeared in the world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 Focusing on poetry of Park Nam Chol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8
22P 미리보기
한국 현대 시세계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 박남철 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 / 11권 / 2호 / 175 ~ 196페이지
    · 저자명 : 권성훈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을 탐구하면서 폭력의 원인과 의미를 찾는데 있다. 한국 현대 모더니즘의 대표적 시인이라고 할 수 있는, 박남철 시의 시대적이고,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한 폭력적 세계관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슬라보예 지젝의 ‘언어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물리적 폭력’ 등 세 가지 논의를 중심으로 폭력성, 반폭력성, 비폭력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폭력성과 구조적 폭력’에서는 국가가 자행한 폭력적 사태인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사건 운동에 대하여 3S라고 지칭할 수 있는 sport, screen, sex를 통해 억제하거나 제압하기 위해 ‘국가의 문화적 폭력’에 대한 폭력을 드러낸다. 이러한 폭력은 시스템적으로 국민들에게 자행하는 힘과 권력에 의한 이데올로기적이고, 공시적인 국가적 폭력이라는 점에서 ‘구조적 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반폭력성과 물리적 폭력’에서는 폭력에 대항하기 위해 정치적인 형식을 파괴하고 장르를 해체하는 반미학의 원리로, 폭력적 현실을 부정하며 군사독재로 받은 폭력의 반향으로써 반폭력을 행사한다. 이것은 폭력에 저항하기 위한 폭력으로 나타나며, 국가로 대변되는 권력에 대한 힘을 무화시키기 위해 ‘반폭력성의 법칙’이 작용한다. 박남철은 정권의 무력적 훈육 방식을 도입하여 무지하고, 무력한 국민(독자)들을 반어적으로 일깨우고, 국민들을 대신하여 지배계층에 반폭력을 가한다는 측면에서 아방가르드적으로 문학과 정치, 문학과 문화의 경계를 물리적이고 가시적인 폭력으로 해체하며 지배계층에 저항하는 ‘언어적 혁신’을 시도한다. 박남철의 반폭력성은 폭력에 대한 저항으로서 국가가 행한 폭력적인 억압을 ‘물리적이고 가시적인 폭력’으로 행사하고 있다.
    셋째 ‘비폭력성과 상징적 폭력’에서는 시대적 폭력을 증오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상징화된 언어로서 대체하면서 ‘비폭력적인 무저항’과 ‘비폭력적인 저항’을 드러낸다. 이것은 국가의 폭력적인 사태를 비폭력적으로 바라보지만 대신에 독자들로 하여금 국가와 국민 사이의 시대 상황을 긴밀하게 유추하게 한다. 그의 비폭력성은 ‘무저항적’인 ‘상징화 된 언어적 폭력’을 보여준다. 또한 ‘기표 해체 화법’을 통해 세계에 가해지는 폭력을 암묵적으로 웅시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세계 안에 벌어지는 폭력적 사태에 대해 ‘비폭력적 저항’을 보이기도 한다. 그의 시에서 ‘비폭력적인 무저항’과 ‘비폭력적인 저항’이 보여주는 공통점은 ‘언어적― ‘상징적 폭력’으로 나타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requently explore the search for a cause and meaning of the violence the cause of violence shown in Korea contemporary poetry.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Pak Nam-Chol (1953 to 2014)s that can representative of Koreas contemporary modernist poets focused on violent world view, they a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as Slavoj Zizek's ‘Verbal abuse’ ‘Structur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ll three centers on the discussion of violence, antiviolence, non-violene, checked out the modality.
    First in the ‘Violence and structural violence’ nation is in the ruthless violence committed by the state of affairs,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1980, case references that can be that motion on three sScreen, sport sex, or to suppress or subdue through speed ‘National cultural violence’ of violence against externally. Such violence is systematically committed to their citizens to strength and power by the ideological and national violence today in terms of public disclosure, as ‘Structural violence’ I can say.
    Second, in the ‘Physical violence and the anti-violence’ against violence in politics to the outward forms of destruction and to dissolve the genre, violent reality on the principle of the anti-aesthetics anti-violence by the repercussions of events received in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violence. This is to protest violence against women, evidence of violence and the government, represented by Such behaviors make a force for power to ‘Law of the anti-violence is at play. Pak Nam-Chol the government's helpless, helpless people and ignorant approach to keeping (Reader) ironically to hear suggests the ruling class, on behalf of the people in anti-violence’ Avant-garde in terms applied as literary and political violence, physical and tangible boundaries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e and dismantled in the governing classes in resistance to ‘ a language Innovation will try ’. Park Nam-chol of the national Other Acts Committed on Board as violent repression of resistance to violence is the anti-violence ‘A physical, visible violence’ by events.
    Third in the ‘Nonviolence as performance symbolic violence’ era in a violent hatred of it symbolized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language by substituting ‘Non-violent resistance.’ and reveals ‘Non-violent resistance’. This is so nonviolently, but instead of readers to look at the violent situation in the country between country and the tight analogies with times to make. His nonviolence is the ‘A resistance.’ phosphorus ‘The symbolism be a verbal abuse’ shows. Also through ‘dissolution technique of signifiers’ implicitly hold sway over the violence done to the world and in view of the world in which violence took place in a situation about ‘ efforts, Resistance ’ They also show. This was the common threads that are reflected in ‘Symbolic violence terms of verbally‘’ ‘Non-violent non-resistance.’ and ‘Non-violent resistance’ in his poetry showed up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