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성애에 대한 국내외 인식 변화 고찰 - 정신의학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ceptions of Homosexuality: focused on psychiatr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04
19P 미리보기
동성애에 대한 국내외 인식 변화 고찰 - 정신의학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 15권 / 1호 / 135 ~ 153페이지
    · 저자명 : 손지성, 최규진

    초록

    본 연구는 동성애를 둘러싼 국내외 사회적 논쟁의 역사와 인식의 변화를 정리한 것이다. 특히 정신의학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제 사회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정신의학계를 중심으로 동성애를 처벌의 대상에서 치료의 대상으로 변화시키고자 과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20세기 중반에는 ‘킨제이 보고서’가 발표되고, 유럽에서 시작된 ‘68혁명’의 물결이 미국 등 전 세계로 번지면서, 동성애에 대한 인권문제도 급부상해, 결국 동성애가 치료의 대상에서도 제외되는 발판을 만들었다. 1974년 미국 정신의학계는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에서 동성애 진단명을 삭제하였으며, 나아가 2019년에는 LGBTQ 단체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해 정신의학계가 성소수자들과 동지적 관계임을 확고히 하였다. 이와 달리, 한국 사회에서 동성애가 이슈화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가부장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20세기 중후반까지도 동성애는 가정을 파괴시키는 죄악 또는 질병으로 치부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유명 연예인들의 커밍아웃을 계기로 동성애자들의 인권문제가 사회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보수 기독교와 성소수자 단체의 대립 속에, 한국 정신의학계도 이에 대한 책임 있는 논의를 요구받게 되었다. 다소 더딘 감이 있으나 2019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초로 성소수자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등 최근 한국 정신의학계는 물론 의학계 곳곳에 성소수자 친화적인 움직임이 일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y and changes in percep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al debates surrounding homosexuality.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psychiatry.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tempted a scientific approach to change homosexuality from a punishment object to a treatment object, centered on the psychiatry. After the ‘Kinsey Report’ was released and the wave of the ‘68 Revolution’ that started in Europe spread to the United States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raising the issue of human rights against homosexuality, eventually setting the stage for homosexuality to be excluded from treatment. In 1974, the American psychiatric community deleted the diagnosis of homosexuality from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and in 2019 finally issued a statement in support of LGBTQ groups, confirming that the psychiatric community was a friend of LGBTQ people.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20th century, it was not long before homosexuality became an issue in Korean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patriarchal Confucian culture, homosexuality was regarded as a sin or disease that destroys families until the mid to late 20th century. It was only in the 21st century that the human rights issue of homosexuals began to draw attention in society with the advent of famous celebrities. Afterwards, amid the confrontation between conservative Christianity and LGBTQ groups, the Korean psychiatric community was also asked to discuss it responsibly. Although it is a bit slow, LGBT-friendly movements are taking place not only in the Korean psychiatric community but also in the medical community, such as the first discussion on LGBTQ people at the 2019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autumn meeting, drawing keen att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담론과 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