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모들의 치맛바람: 1960년대 교육계 이슈와 어머니 표상 (The Origin of Korean Tiger Mom: Issues in Education and Tiger Mom’s Cultural Representation in 1960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12
33P 미리보기
자모들의 치맛바람: 1960년대 교육계 이슈와 어머니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44권 / 4호 / 91 ~ 123페이지
    · 저자명 : 서나래

    초록

    “치맛바람”은 자녀의 학업과 입시를 위해 극성을 부리는 어머니들의 대표적인 표상이다. 1960년대 특정 시기를 중심으로 신문에서 자녀 교육에 열심인 어머니들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그려내는데 “치맛바람”이라는 은유를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교육계의 특정 사건을 설명하며 자주 언급되었다. 그 이후로 “치맛바람”은 현재까지 어머니들의 교육열, 교육계의 이슈와 여성혐오, 가부장제 등을 동시에 보여주는 대표적인 키워드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교육 분야에서 “치맛바람”이라는 표현이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어떠한 사건과 상황을 논의하면서 등장하였는지 그 구체적인 맥락을 추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와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1960년 1월 1일부터 1969년 12월 31일까지 10년간 “치맛바람” 키워드가 포함된 기사 총 364건을 추출하였으며 연도별, 지면별, 용례별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신문기사 속 “치맛바람” 키워드는 1960년대 자모회의 교내 잡부금 수금 업무와 서울시내 일류 중학교 입시전략, 그리고 “6학년 담임교사 헌장”과 같은 교육계 이슈를 아우르고 있었다. 또한 “치맛바람” 어머니 이미지는 신문기사를 통해 부정적으로 그려졌는데 이는 당시 교육 현장 전면에 나서는 여성에 대한 사회의 시선인 동시에, 주체성을 가진 여성에 대한 혐오를 구축해나가는 과정이었다. 신문기사에서 재현한 “치맛바람”의 어머니는 식민지 시기에 초등교육을 받은 서울 시내 중산층 이상의 유한계급 출신으로 한정되었다. 결국 1960년대 신문기사 속 “치맛바람”은 당시의 사회의 지배적인 현상으로 치환할 수 없고 “치맛바람” 어머니 역시 보편적인 어머니 표상으로 간주할 수 없다.

    영어초록

    "Skirt Wind" represents mothers who are enthusiastic about their children's academics and entrance exams. In the 1960s, newspapers began to use the metaphor "skirt wind" to portray mothers eager to educate their children negatively, and it was frequently used to explain certain events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Since then, "skirt wind" has become a symbol for mothers' enthusiasm for education, educational issues, misogyny, and patriarchy all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we tracked the specific context of how the expression "skirt wind" first appear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e 1960s, as well as the events and situations that occurred while discussing them. In this study, 364 articles with the keyword were examined. In this study, 364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skirt wind" were extracted over a 10-year period from January 1, 1960 to December 31, 1969, using the Naver News Library and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s Korean History Database. As a result, the keyword "skirt wind" in the newspaper article covered educational issues such as the mother's association's collection of miscellaneous funds in the school in the 1960s, the top middle school entrance strategy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6th-grade homeroom teacher charter." Furthermore, the image of the "skirt wind" mother was negatively portrayed in newspaper articles, which reflected the social view of women at the forefront of the educational field at the time, and the process of building misogyny began. The mother of "Chimatbaram," as depicted in the newspaper article, was restricted to Seoul residents from the middle or upper classes who had received elementary educ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all, the "skirt wind" mother in 1960s newspaper articles cannot be replaced as a dominant phenomenon in society at the time, nor can the "skirt wind" mother be regarded as a universal representation of the m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