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사 창건 이후 연기의 자장계 화엄 전승과 변천 과정 고찰 (Contemplation on Legacy of Jajang(慈藏) Hwaeom of Hwaeomsa Templ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06
28P 미리보기
화엄사 창건 이후 연기의 자장계 화엄 전승과 변천 과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5권 / 1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황태성(무진)

    초록

    1636년 편찬된 중관해안의 『화엄사사적』은 신빙성의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화엄사는 창건주 황룡사 연기가 8세기 중반 창건한 사찰로 중론이 통일됐다. 또한 빠르면 고려 후기 늦으면 조선 초기에는 화엄사에서 창건주 연기의 성격과 화엄 계통 전승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 또한 확인된다.
    본 논고는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후삼국 관혜와 희랑의 대립을 통해 화엄사의 화엄 계통 변화에 관한 시작점을 검토한다. 이후 904년 편찬된 『법장화상전』과 1281년 편찬된 『삼국유사』의 화엄 십산과 십찰의 의미와 변화의 상황을 밝힌다. 이를 통해 화엄사 연기법사의 자장계 화엄의 변화과정을 정리하였다.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화엄사는 자장계 화엄의 전통을 이은 황룡사의 연기에 의해 8세기 중엽 구례 남악 지리산에 창건된다. 이후 후삼국시대가 되면 자장계 화엄의 계통을 이은 남악 화엄사의 관혜와 의상계 화엄의 계통을 이은 북악 해인사의 희랑은 대립한다. 고려가 건국되고 화엄사의 자장계 화엄의 전통은 고려 초 균여에 의해 의상계 화엄으로 통합되고, 고려 후기에는 의상계 화엄으로 획일화된다. 이것은 1281년 편찬된 『삼국유사』의 의상전교 십찰로 증명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화엄사는 8세기 중반 황룡사의 연기법사가 자장계 화엄의 계통을 전승하여 창건된 사찰임을 본 논고는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e "Record of Hwaeomsa Temple(華嚴寺事蹟)," compiled in 1636, raised concerns about its credibility. It is known that Yeon-gi(緣起) of Hwangnyongsa(皇龍寺) Temple established Hwaeomsa(華嚴寺) Temple in the mid-8th century. It is also known that the features of Yeon-gi and the traditional aspects inside Hwaeomsa Temple began to diminish between the late Goryeo(高麗) period and the early Joseon(朝鮮) perio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Hwaeom school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y examining the conflict between Goanhye(觀惠) and Huirang(希郞). Moreover, this paper inspects the transformation regarding to Hwaeomsa’s ten mountains(華嚴十山) and ten temples(華嚴十刹) inside Bupjang Hwasangjeon(法藏和尙傳, 904) and Samguk Yusa(三國遺事, 1281). Through these analyses, the study discusses about the forgotten value of Hwaeomsa Temple.
    This study concludes that Yeongi of Hwangryongsa Temple, who inherits Jajang(慈藏) Hwaeom established Hwaeomsa Temple in the mid-8th century in Namak, Jirisan, in Gurye. During the early 10th century, a conflict arose between Goanhye of Namak(南岳) Hwaeomsa Temple who followed Jajang(慈藏) Hwaeom, and the Huirang of Bukak(北岳) Haein Temple(海印寺), who followed Uisang(義湘) Hwaeom.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dynasty, the tradition of the Jajang Hwaeom at Hwaeomsa Temple was integrated under the Uisang Hwaeom by Gyunyeo(均如, 923~973). This integration is evidenced through ‘Ten major Temples of Hwaeom Buddhism(義湘傳敎十刹)’ in "Samguk Yusa."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his paper contemplates Hwaeomsa Temple as a temple established by Yeon-gi in the mid-8th century, carrying on the legacy of the Jajang Hwae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