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민주주의의 상상계에서 민(民)의 생명과 죽음 (Life and death of Min(民, demos) in the imaginary of Korean Democracy)

7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12
73P 미리보기
한국 민주주의의 상상계에서 민(民)의 생명과 죽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 사회 / 31권 / 3호 / 51 ~ 123페이지
    · 저자명 : 김정환

    초록

    예외적인 사건과 우발적 전개로 점철된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는 일종의 극에 비유되곤 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은유를 본격적으로 채택하여 한국 민주주의라는 극에 대한 비평을 시도한다. 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는 전진과 후퇴를 반복하며 교착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교착상태를 감당하는 피해자로서가 아니라 그에 대한 책임이 귀속되는 존재로서 민을 주목한다. 민은 주어진 민주주의에 의해 대표되는 객체일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라는 극을 상연하고 표상하는 주체이기 때문이다. 우선, 한국 민주주의라는 극에서 반복되는 특정한 이미지들의 재고를 상상계라는 개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르면 한국 민주주의는 죽음이라는 참상과 결집이라는 장관 두 가지의 스펙터클을 양 축으로 하여 전개된다. 다음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에서 죽음으로부터 결집으로 이행하는 서사가 반복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선/악, 강/약, 참여/방관 등의 의미론을 도출해낸다. 그리고 극장 안에서 한국 민주주의라는 극을 연기하거나 관람하는 민, 그리고 이러한 극과는 무관하게 극장 밖에서 살아가는 민의 경우를 대조하면서 과연 한국 민주주의는 그것을 경험하며 살아가는 민에게 바람직한(desirable) 것이었는지 질문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민주주의가 새로운 단계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민의 삶과 죽음을 새롭게 사고하며 다른 방식으로 몸을 운용하는 정치적 상상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history of Korean democracy, full of exceptional events and accidental developments, was often compared to a kind of drama. This paper adopts this metaphor in earnest and attempts to critique the drama of Korean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Korean democracy has been stuck in a stalemate repeating its advance and retreat. In this article, I focus on Min(demos, 民), not as a victim or sufferer of this deadlock, but as someone who is responsible for it. For Min is not only an object represented by the present democracy, but also the subjects who present and represent the drama of democracy. The first task in this paper is to present a stock of specific images that are repeated in the drama of Korean democracy through the concept of the imaginary. According to this, Korean democracy unfolds on two axes: the spectacle of death and the spectacle of assemblage. Next, I confirm that the transition from death to assemblage is repeated narra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democracy, and from this derive semantics of good/evil, strong/weak, participant/spectator, etc. And by contrasting the Min who perform or spectate the drama of Korean Democracy in the theater and Min who live outside the theater unrelated to these plays, the question is asked whether Korean democracy is desirable for the Min who experience it. Finally, I propose that in order for Korean democracy to move to a new stage, a political imagination is needed to think anew about the life and death of Min and to operate the body of Min in a differen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