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생태학'연구의 생태계: 개념 변천 양상을 중심으로 (An Ecosystem in Studies of Educational Ecology: Focusing on Aspects of the Conceptual Chang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3
20P 미리보기
'교육생태학'연구의 생태계: 개념 변천 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환경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환경교육 / 33권 / 1호 / 40 ~ 59페이지
    · 저자명 : 남상준, 문현진, 이수룡, 채유정, 이현진

    초록

    본 연구는 교육생태학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관계성과 공존, 지속성의 원리에 기반한 교육 연구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Rodgers의 진화론적 개념 연구방법을 통해 ‘교육생태학’의 개념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은 전문가집단 협의를 거쳐 선정한 교육생태학 관련 연구물 377편을 분석하여 교육생태학 개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사용․적용되고 변화해 왔는지, 개념 변화에 비추어 그 시기 구분은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추론하였다. 그 결과, 교육생태학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하여 형성기와 확산기로, 2010년 이후를 정착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교육생태학이라는 용어 그 자체로써도 개념이 발전되어 왔지만, 생태적, 생태학적, 생태교육, 생태주의 등 유사개념들의 교호 속에 진화의 순환과정을 거쳐 의미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생태학의 개념은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근대 교육철학에 대한 반성, 교과교육 내부적 필요성 인식, 교육생태학을 둘러싼 연구간 통섭의 필요성에 의해 변화되었으며, 공통적인 속성은 관계성, 총체성, 메타성으로 나타났다. 최초의 환경교육이 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지혜를 교육에서 찾고자 함이었고, 오늘날 교육생태학은 거꾸로 생태계의 지혜로 교육을 보는 관점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이나, 관계적이고 전체적이며, 메타적이라는 속성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육생태학은 그 이름이 명명되기 전부터 개념이 존재해온 것이다. 이러한 교육생태학 개념의 변천은 환경교육을 각 교과교육의 메타교과로, 범교육과정으로서 그 위치를 공고화하도록 하며, 나아가 환경교육의 확장과 진화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fines Educational Ecology as an educational study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lationship, coexistence, and sustainability, and aims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changed over time by adopting the research method of Rodgers’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To this end, 377 kinds of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al Ecology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group consultation. They were analyzed as to how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has been used or applied and changed over time. Then, inferences were made for the classification of the studies by period from the concept transition, As a result, the studies of Educational Ecology wer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formative period and expansion period before and after the 2000s, and settlement period after 2010. Even though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developed by the term ‘Ecology of Education’ itself,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aning of Educational Ecology was formed by going through a cyclic process of evolution and interacting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ecology, ecology education, and ecologism.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changed according to the reflection on 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the recognition of the internal necessity of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consilience surrounding Educational Ecology. The common attributes of Educational Ecology were found to be relationship, totality, and meta-quality. The first environmental education aimed to find the wisdom for overcoming an environmental crisis in education. Conversely, it appears that Educational Ecology today views education with the wisdom of ecosystems. Nevertheless, the attributes of being relational, total and Meta have remained the same over tim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Educational Ecology existed before the name was given. Such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of the Educational Ecology concept strengthens the pos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Meta-subject of each curriculum education and a cross-curriculum and may further serve as a cornerstone for the expansion and evolu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환경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