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구결 번역문에 나타난 성분 분절과 번역어 구성 - 『구역인왕경』 구결을 중심으로 - (The Division of the Text and Composition of the Translation Language in the Gugyeol Translated Text (口訣飜譯文) of the Late Goryeo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06
27P 미리보기
고려시대 구결 번역문에 나타난 성분 분절과 번역어 구성 - 『구역인왕경』 구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8권 / 1호 / 157 ~ 183페이지
    · 저자명 : 신영주

    초록

    『구역인왕경』(상)에 표기된 석독 구결을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여기에 표기된 석독 구결은 한문을 독자가 우리말로 풀이하여 읽어낼 수 있게 도운 것으로, 『유가사지론』(권20)에 표기된 구결과 함께 고려시대의 석독 구결을 대표한다. 한문을 우리말로 번역할 수 있는 다른 표기 수단이 없었던 당시로서는 구결이 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번역 수단이었다. 이 글에서는 석독 구결에 나타나는 몇 가지 번역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먼저 석독 구결을 포함하는 『구역인왕경』(상)의 텍스트를 구결 번역문으로 보고, 번역을 위해 수행한 성분 분절 방식과 분절 수위를 알아보았다. 또한 원문의 어순을 어떻게 우리말 어순으로 바꾸어 구성하고 있는가와 역순으로 읽어야 하는 부분에서 사용하는 구결의 몇 가지 활용 특성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유가사지론』의 구결 번역문과『대명률직해』의 이두 번역문을 함께 비교하여 번역을 위한 구결과 이두의 활용 성격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구결을 불규칙하게 활용하는 문제를 알아보았다. 같은 문형이 중첩된 문장일 경우, 구조적으로 같은 위치에 같은 구결이 달려야 하는데, 실제로는 서로 다른 구결이 달린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는 구결을 기계적으로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에 따라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선택을 하고, 심지어 이어진 하나의 문장 안에서도 구결을 불규칙하게 변형하고 생략하는 것을 용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어의 문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이를 우리말로 바꾸어 완벽하게 읽어낼 수 있게 하려면,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고 판단되는 의미를 구결로 대체하여 구현하는 문제를 알아보았다. 곧 원문의 행간에 숨어 있는 의미를 끌어내고 語氣나 지시어를 직접 보충하여 독자가 원문을 바르게 읽을 수 있게 최대한 배려하였다. 이어서 『구역인왕경』 구결문에 나타난 몇 가지 오류를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인들이 당시 활용하던 번역 기법의 일부를 엿보았다. 이로써 구결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한다. 이 구결 번역문은 이두의 기술 방식에 적용된 기본 원리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 이두의 사용 경험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구결 번역문은 이두로 한문을 번역한 『대명률직해』의 이두 번역문과 함께, 한글 창제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존재하던 독특한 번역 형식의 사례를 보여준다. 우리나라의 번역사 기술에서 반드시 주목해야 하는 주제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nslation, the 釋讀口訣 marked in 『舊譯仁王經』 (上) were analyzed. This 口訣 represents the 釋讀口訣 of the 高麗 Dynasty along with the 口訣 written in 『瑜伽師地論』(卷20). The 釋讀口訣 helps the reader to read 漢文 by translating them into Korean. In this respect, this is more of a translation. At that time, there was no other means of notation to translate 漢文 into Korean. 口訣 was the best means of translation. As a result, the 『舊譯仁王經』 (上) of 釋讀口訣 written on it can be viewed as a translation. In this article, several translati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釋讀口訣 were analyzed. Through this, we can see some of the translation techniques used by Goryeo people,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a new direction for 口訣 research. This 口訣飜譯 is closely linked to the experience of using the 吏讀.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share the basic principles of the technology method together. 口訣飜譯 shows an example of a unique translation format that exists in Korea along with the 吏讀飜譯 of 『大明律直解』, which translates 漢文 into 吏讀. I saw it as a meaningful subject that must be noted in history of tran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